카카오뱅크, 지난해 중신용자대출 1조7000억…전년보다 3.7배 ↑

입력 2022-02-25 14:33수정 2022-02-25 14: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CSS고도화로 대출 고객 범위 확대 … 신용점수 500점대까지 대출공급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한 해 동안 중저신용 고객(KCB 신용점수 기준 820점이하)에게 공급한 무보증 신용대출 규모는 1조7166억 원으로 전년(4679 억 원) 대비 3.7배 가량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전체 신용대출 신규 공급에서 중저신용 비중은 2020년말 4.1%에서 2021년 4분기에 90.6%까지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 11월 이후부터는 신규 신용대출 100%를 중저신용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다.

대출 실행 고객들의 최저 신용점수(KCB 기준)는 500점대까지 분포하고있으며 평균 대출금리는 6%대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대출 확대를 위해 대출금리 인하 및 대출 한도를 최대 1억 원으로 확대했다. 김광옥 부대표를 중심으로 TF를 결성해 회사의 역량을 집중해왔다.

지난해 6월에는 실제 대출 이력 데이터와 대안 정보 등을 활용한 신(新) CSS(Credit Scoring System) 대출 평가에 적용, 중저신용 고객에 대한 대출 변별력을 높였다. 지난해 8월에는 신CSS를 바탕으로 ‘중신용플러스대출’ ‘중신용비상금대출’을 출시했다.

카카오뱅크를 이용하는 중저신용 고객의 대출 이자 절감을 위해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대출을 실행한 고객들에게 첫 달 이자를 지원했고, 총 지원 금액은 약 80억 원이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자산시장의 성장 둔화 등에 따른 대출 수요 감소, 연소득 수준으로 신용대출 한도 제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 조기 적용 등이 중저신용대출 수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대출 공급 확대를 여신 계획의 최우선순위로 정했다. 고신용 신규 신용대출 중단은 올해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카카오뱅크는 연말까지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25%, 내년 말에는 3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중저신용대출 확대를 위해 CSS 고도화 및 대안정보 활용 범위를 확대한다.

지난해 6월 적용한 현 카카오뱅크의 CSS는 2500만 건에 달하는 카카오뱅크 대출 신청 데이터에 통신정보 등을 반영해 머신러닝 방법으로 개발한 모형이다. 신용점수 820점 이하 대출 신청 고객들의 변별력을 높였다. 이를 기반으로한 대출 상품 출시를 통해 대출 가능 고객의 범위를 KCB 신용점수 기준 500점대로까지 확대했다.

카카오뱅크는 현재 카카오 공동체 외에 교보그룹과 데이터 협력을 진행 중이다. 더불어 다른 금융회사를 이용하고 있는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대환 신용평가 모형'도 개발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