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있는' 미혼가구 자산 증가율, '빚 없는' 미혼가구의 2배

입력 2021-12-19 06:00수정 2021-12-19 18: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OSIS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 분석…기혼가구 '여윳돈' 투자할 때 미혼가구는 '빚투'

부채를 보유한 미혼 가구의 자산 증가율이 부채가 없는 미혼 가구의 2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배우 가구에선 대출 미보유 가구의 자산 증가율이 더 높았다. 미혼 가구는 ‘대출빚으로’, 유배우 가구에선 ‘여윳돈으로’ 투자해 금융자산을 불린 결과다.

이투데이가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통해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3월 기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미혼 가구의 평균 순자산은 1억8160만 원으로 전년보다 17.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이 2억2636만 원으로 17.5%, 부채는 4475만 원으로 18.0% 각각 늘었다. 유배우 가구의 순자산도 5억2468만 원으로 전년보다 15.3% 늘었다. 반면, 자산과 부채는 각각 6억3807만 원으로 6.7%, 1억1339만 원으로 6.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미혼 가구는 유배우 가구보다 자산 증가율이 3배 가까이 높았지만, 부채 증가율도 마찬가지로 3배 이상 높아 순자산 증가율은 유배우 가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혼인상태별 자산 증가율은 부채 보유 여부에 따라 정반대의 상황을 나타냈다. 미혼 가구는 부채가 있을 때, 유배우 가구는 부채가 없을 때 더 높은 자산 증가율을 보였다.

먼저 부채를 보유한 미혼 가구는 순자산이 2억596만 원으로 20.8% 늘었다. 자산이 2억8623만 원으로 19.2%, 부채는 8027만 원으로 15.2% 각각 증가했다. 부채의 중간값은 3800만 원으로 31.0% 급증했다. 반면, 부채가 없는 미혼 가구는 자산(순자산 동일)이 1억5092만 원으로 11.2% 증가에 그쳤다. 부채를 보유한 비혼 가구에서 자산 증가율이 2배 가까이 높았다.

유배우 가구에선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순자산이 5억3473만 원으로 14.2% 늘었다. 자산 증가율(7억310만 원, 12.4%)과 부채 증가율(1억5937만 원, 6.7%) 모두 부채를 보유한 미혼 가구보다 낮았다. 반면, 부채가 없는 유배우 가구는 자산(순자산 동일)이 4억7770만 원으로 18.1% 늘었다. 부채를 보유했을 때보다 부채가 없을 때 자산 증가율이 3.9%포인트(P) 높았다.

이런 차이는 금융자산 격차와 부채 성격 차이에 기인한다. 실물자산은 지난해 집값 급등의 영향으로 혼인상태, 부채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결국, 혼인상태별, 부채 보유 여부별 자산 증가율 차이는 금융자산 증가율의 차이로 볼 수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부채가 있는 미혼 가구는 주식, 채권, 펀드 등에서 증가율이 높았지만, 유배우 가구는 부채가 없는 경우에 주식, 펀드, 예금 등에서 증가율이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미혼 가구는 대출로 투자자금을 조달하고, 유배우 가구는 여윳돈을 투자에 썼다는 의미다.

부채를 보유한 유배우 가구에서 자산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 이들의 부채가 주거비, 생활비, 소비지출 등에 쓰였기 때문일 수 있다. 전·월세 보증금 인상이 부채 증가로 집계되는 착시효과가 부채 보유 유배우 가구의 순자산 증가율을 낮췄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