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구축, 전문성 강화 필요"

입력 2021-11-10 16: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은혜 "소통하고 지원 강화할 것"

▲10일 경기 화성시 다음이음터에서 진행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간담회에서 유은혜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이 인삿말을 하고 있다. (손현경 기자)

교육부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한국형 뉴딜 10대 대표과제'로 40년 이상 된 학교 낡은 건물을 미래형 학교로 개축하거나 리모델링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10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다원이음터에서 ‘찾아가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서울·경기·인천·강원 지역의 사업 추진 학교 학생, 교원, 학부모, 사전기획가가 직접 만나서 소통하는 첫 자리다. 다원이음터는 학교(다원중학교)와 지역사회(동탄)가 함께 사용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교육 정책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예상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미래공간혁신 건설사업이다. 학교에 완전히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조를 바꾸는 과정에서 400여 개의 건축 업체가 참여한다. 2019년 추진된 ‘학교공간혁신사업’이 전신이기도 하다.

간담회 현장에서는 ‘학교공간혁신사업’에서 불거진 여러 문제 등이 개선되지 않은 채 그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와 관심을 끌었다.

유 부총리가 뽑은 간담회 현장 질문지에는 “사전기획과 달리 본 설계에서 단일 건축사무소가 여러 사업을 맡았는데 미래 건축에 맡는 공급이 이뤄질 수 있을까요”라는 질의가 나왔다.

곽상도 의원실에 따르면 해당 기관은 학교공간혁신사업에서 30개 학교를 사전기획했는데 그중 27개 학교의 기획을 거의 똑같은 내용으로 작성해 비전문성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서울은 미래학교 공간에 대한 사전 기획 단계가 부실하고 공사 기간 동안 학생들이 조립식 모듈러 교사를 사용하거나 전학을 가야 한다는 점 등이 학부모들의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유 부총리는 “추진하는 부분에서 그러한 어려움이 있다면 각 시도교육청에서 소통하고 (관련 문제를) 점검해 전문성을 살려 나갈 것”이라며 “그런 우려는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이 완전한 정비가 갖춰져 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도를 보완하고 계속적인 소통과 교감을 통해 필요한 지원과 조직 역량과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