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가 선택한 주요 뉴스를 보여드립니다.
정원감축·대학 통폐합 등 자발적 적정규모화 노력을 하는 대학의 경우 일반대학에 300억 원, 전문대학에 210억 원이 추가 지원된다. 올해 등록금을 동결·인하한 대학들은 인건비 집행 한도를 기존 25%에서 30%으로 상향해 대학들이 유연하게 사업비를 운용할 수 있다. 교육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2027년 일반재정지원사업인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국립대 대상의 일반재정지원사업인 ‘2025년 국립대학육성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일반재정지원사업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중장기 발전계획을
의과대학이 있는 전국 40개 대학이 수업 거부를 목적으로 제출한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와 대학이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이나 제적 등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는 가운데 집단 휴학은 불가하다는 점을 재차 확인한 셈이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19일 오전 10시께 연 긴급회의를 통해 객관적 사유 없이 동맹 휴학에 동참하는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21일까지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전북대와 조선대가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반려했는데
27일 논의 예정…임태희 교육감, 대교협 이사회 땐 직접 발표도 국교위 5월 교육발전계획 시안 발표…대입개편 안에 관심 쏠려 전국시도교육감들과 대입을 담당하는 대학 총장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현행 11월에서 9월로 앞당기고 서술·논술형 평가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2032 대입개편(안)’을 공식적으로 논의·공유한다. 이 같은 안은 중장기 교육정책을 논의하는 기구인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에도 제안될 예정이다. 1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27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충남 보령에서 총회를 열고 이 같은 사항에 대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