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효진 사회경제부장
코로나19는 국내 교육 환경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생동감 넘치던 학교는 사라졌고, 적막감이 흘렀다. 교육 당국은 원격 수업이라는 궁여지책을 밀어붙였다.
아이들은 태블릿PC 등을 통해 화상으로 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났다.(이마저도 근래의 일이다. 인프라와 경험이 부족했던 초기엔 ‘동영상 시청’이 맞는 표현이겠다)
원격 수업의 한계는 분명했으나 코로나19의 위세에 시간은 속절없이 흘러갔다. 아이들의 학교 수양은 멈췄고, 사회성 발달도 늦춰졌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등학생들의 등교일수는 92.3일로 예년의 48.6%에 불과했다. 중학생들은 이보다 낮은 88.1일(46.3%),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야 할 고등학생은 약간 많은 104.1일(54.8%)을 기록했다.
아이들로부터 많은 것을 앗아간 코로나19는 최근 교육부 차원의 공식 통계(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로 실질적인 학력 저하가 확인되면서 심각성이 더 커졌다. 그동안 시도교육청이 개별 조사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학력 격차를 추정한 적은 있으나 교육 당국의 전국적인 조사에서 아이들의 학습 결손이 수치로 나온 것은 처음이다.
표집 조사 대상인 중3의 국어·영어, 고2의 국어에서 보통 학력 이상 비율이 감소했다. 특히 중학교 수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 수준이 상승했다. 중3, 고2의 영어 과목의 경우 2019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자 교육부는 학습 결손으로 인한 학력 격차를 감시하기 위해 학업성취도 평가 시스템을 표집이 아닌 희망하는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기로 했다.
학습 결손은 아이의 인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OECD는 학습 손실을 보충하지 못하면 개인의 생애소득 3%가 하락한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교육부의 2학기 전면 등교 결정은 환영한다. 그러나 이번 결정이 끝까지 박수를 받을 수 있을지는 다른 문제다.
코로나19는 아직 진행형이다. 그만큼 전면 등교는 위험 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교육 당국은 철저한 방역 준비를 통해 전면 등교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한다.
우선 8월까지 유치원, 초·중·고 교직원과 고3, 수험생 등에 대한 백신 접종을 완료하기로 했다. 1617억 원 투입해 급식·보건교사 등 최대 6만 명의 방역 인력을 각급 학교에 지원한다.
학교 방역의 최대 취약점으로 꼽히는 급식은 급식실 지정좌석제, 교실 배식 전환·병행, 대체식·간편식 제공 등을 실시한다. 무증상 감염자 선제 발견을 위한 학교 이동형 전자증폭(PCR)검사 확대 방안을 시도교육청과 협의하고, 8월까지 방학 대비 학원 종사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추진한다.
그러나 새로울 게 없는 교육부의 방역 대책은 아쉽다.
무엇보다 백신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성인 인구의 81.0%가 1차를, 59.0%가 2차 접종을 완료한 백신 모범국 영국은 1000명대 후반까지 내려갔던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흘 연속 1만 명대로 급증했다. 인도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된 탓인데, 백신 접종 이후 느슨해진 방역 경각심이 주된 원인이다.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과밀 학급, 급식 방역 대책은 부족하다. 손 소독하기, 마스크 착용하기 등 아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아이들에게 맡기고 감염 위험이 높은 부문에 인력과 자원을 더 투입해야 한다. 급식 방역이랍시고 질 떨어지는 간편식·대체식을 아이들에게 주는 어리석은 짓도 하지 말아야 한다.
전면 등교는 학원 정상화를 의미한다. 방학 대비 선제 검사와 같은 일회성 대책은 무의미하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아직 일일 확진자가 400~600명씩 나오고 있다. 교직원과 학생들의 확진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학교가, 우리 아이들이 4차 유행의 도화선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더욱 촘촘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