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차관 "미국발 인플레 우려, 국내 금융시장 과하게 반응할 필요 없어"

입력 2021-05-13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주재…"코로나19 전개 양상 등 리스크 요인도 상존"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미국발 인플레이션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에 대해 “미국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지는 특성,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 견고한 대외신인도 등을 감안할 때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기재부 내 거시경제금융 관련부서와 국제금융센터 등이 참여하는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밝혔다.

12일(한국시간) 발표된 미국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시장 예상치인 3.6%를 뛰어넘는 4.2%를 기록했다. 이에 인플레이션 및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조기 긴축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면서 미국 주가가 하락하고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다.

다만 4월 미국 물가 상승률 확대에는 공급 부족과 이연수요 등 경기 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 등 주요 인사들도 4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대부분 일시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 차관도 이를 근거로 미 물가 상승의 국내 금융시장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 예상보다 높은 1.6%(전기 대비)를 기록하고, 무디스(Moody’s) 등 주요 국제신용평가사들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점도 고려했다.

이 차관은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개 양상, 국가 간 불균등한 회복속도, 지정학적 요인 등 국제금융시장의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는 가운데, 향후 주요 경제지표 등이 발표되는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시장 동향과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필요시에는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 결과에 대해 기재부는 “앞으로도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을 통해 관계부처·기관과 긴밀히 소통하며 코로나19 관련 국내외 경제·금융상황과 대응방안을 면밀히 점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