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콜종합] LGD “대형 OLED 패널, 400만 후반~500만 대 판매 목표”

입력 2020-07-23 18: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구미 공장, 웨어러블ㆍ폴더블 중심 운영…車 수주액 20%가 P-OLED”

▲23일 LG디스플레이 광저우 OLED패널공장 양산출하식에서 정호영 사장(왼쪽에서 네번째)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중국경영관리담당 이동은 상무, 경영지원그룹장 양재훈 부사장, LGDCO법인장 박유석 상무, CEO 정호영 사장, CPO 신상문 부사장, 위친장(于钦江)중방부총경리,이후각 CO패널 공장장, 전략담당 송영권 전무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공장 본격 가동으로 대형 OLED 패널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낸다.

LG디스플레이는 23일 열린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광저우 공장 램프업은 변수가 없는 한 정상적으로 당초 생각했던 월 6만 장 풀캐파가 로딩될 수 있는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다”며 “대형 OLED는 400만 대 후반에서 500만 대 수준을 타깃으로 판매 전략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플라스틱 OLED(P-OLED)는 하반기 계절적 성수기를 맞아 공급안정성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는 “하반기 중소형 P-OLED 가동률은 풀가동 체제로 계획하고 있다. 수익성 관점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주 공장과 구미 공장은 각각의 특성화에 맞춰 운영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파주 공장은 스마트폰에 특화된 공장이라고 보면 된다. 구미 공장은 다양한 제품을 준비하고 생산하고 있다.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오토(자동차용) 제품과 웨어러블 제품도 구미에서 조만간 생산될 것 같다. 폴더블이나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는 부분은 구미 공장을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LG디스플레이는 “현재 자동차 디스플레이 수주액 가운데 20% 정도는 P-OLED가 차지한다”면서 “현재 LG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오토 디스플레이 글로벌 점유율은 약 25% 정도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LCD 사업 철수설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LG디스플레이는 “경쟁사에서 최근 LCD 사업을 철수함에 따라 자사도 철수한다는 오해가 있다. 그러나 LGD의 IT용 LCD는 고객과 제품 구조 등에 있어 차별화된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회사의 핵심 수익 창출 동력으로 보고 있다. 고화질과 고해상도, 저전력, 디자인 등 지속적인 차별화 요소가 있다. 이를 우위로 관련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광저우 LCD 공장은 향후 메인 공장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광저우 LCD 공장은 글로벌 관점에서 8세대 공장 가운데 가장 경쟁력이 있을 것 같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에서 생산하던 컨슈머용 LCD TV는 한국에서 생산을 중단한다는 기본원칙에는 변함없다”면서 “단지 최근 코로나 사태와 고객 사항을 고려해 단기간에는 조금 더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부분은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분기 매출 5조3070억 원, 영업손실 517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