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내년에도 공급과잉…배럴당 60달러 수준 전망

입력 2019-12-17 11:00수정 2019-12-17 13: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2019 석유 콘퍼런스' 개최

(뉴시스)

내년에도 석유의 공급과잉이 이어지면서 국제유가가 올해보다 낮은 배럴당 60달러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1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서울 삼정호텔에서 개최한 '2019 석유 콘퍼런스'에 참석, 이같은 내용의 내년도 국제유가 전망을 발표했다.

이 본부장은 "지정학적 사건, 미·중 무역분쟁 등 시나리오별 변수는 있으나 기준 상황으로 봤을 때 내년에도 글로벌 공급 과잉이 지속되면서 올해에 비해 다소 낮은 배럴당 60달러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올해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63.17달러 수준이다. 이 본부장은 내년 유가를 기준 시나리오 시 59.68달러로 내다봤다. 단 석유수출국기구(OPEC)이 충분히 감산하거나 지정학적 사건에 의한 공급 차질이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한 고유가 시나리오일 때는 68.13달러를 전망했다. 미중 무역분쟁의 심화와 세계 경기 침체로 수요가 예상보다 둔화되고 OPEC의 감산 준수가 저조할 경우를 가정한 저유가 시나리오 시에는 52.49달러로 예상했다.

에너지 전환 시대에 우리 석유산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내년도 국제유가 전망, 석유 지정학 리스크 대응 방향, 국내 석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등에 대한 발표와 전문가 패널 토의가 이어졌다.

이재승 고려대 국제학부 교수가 최근 국제 석유 지정학 리스크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 이종헌 S&P Platts 박사와 백영찬 KB증권 이사는 국제 석유 시장 및 글로벌 석유 업계의 동향을 발표했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는 △동남아 등 해외 수출처 확보(남방협력 활용) △선도적 카본 활용기술 확보 △액화천연가스(LNG)·수소 등 기체 에너지에 대한 역량 강화 등 국내 석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제언했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높은 효율성·생산성이 강점이던 우리 석유업계가 앞으로도 디지털 전환과 자체 기술확보에 앞장서고, 융·복합 비즈니스를 적극 발굴·적용하는 등 선도적인 변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