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 뚜렷…아이폰, 2년 전보다 최대 66% 급감

입력 2019-03-10 1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름 이후, 통신사 계약 전제로 한 스마트폰 할인 금지…고가폰, 기피 대상 될 듯

▲일본 도쿄의 애플스토어에서 2016년 9월 16일(현지시간) 점원이 아이폰7을 들어보이고 있다. 도쿄/AP뉴시스
일본에서 고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고가폰이 나름 인기가 있던 일본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이 등을 돌리면서 제조업체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 지난해 가을 출시된 중심 가격대 15만 엔(약 153만 원) 안팎의 아이폰XS의 발매 후 3개월간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 2016년 나온 아이폰7(출시 당시 9만 엔 전후)에 비해 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10만 엔 안팎의 아이폰XR 판매량은 51% 감소했다.

리서치 업체 BCN은 한국 삼성전자가 지난해 가을 발매한 갤럭시노트9(약 12만 엔)도 2013년 가을 출시된 갤럭시노트3(약 8만 엔)에 비해 판매량이 63% 급감했다고 분석했다. 스마트폰 단가 상승에 신형 기종으로의 교체 수요가 침체된 것이다.

한 일본 이동통신사 간부는 “신형 아이폰 판매 부진으로 매장에 재고가 쌓이고 있다”며 “신제품 대신 구형 아이폰8(7만~8만 엔 안팎)을 사려는 소비자가 많다”고 한탄했다.

일본은 스마트폰 가격이 약 10만 엔이면 2년 분할로 실제 매월 지불하는 단말기 대금은 약 4000엔이 되지만 여기에 통신요금이 더해져 소비자 부담은 크다.

이통사 실적에도 고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 현상이 반영되고 있다. NTT도코모의 지난해 4분기 스마트폰 판매 대수는 316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 5일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고가 스마트폰은 더욱 기피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올 여름 이후 통신 계약을 전제로 스마트폰 할인 혜택을 받는 것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딜로이트는 “개정안 시행 이후 일본 스마트폰 판매 대수는 지금보다 30~50% 감소할 것”이라며 “5만 엔 전후의 중간 가격대 스마트폰이 주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