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방송 속 성역할 불균형...관련법 개정해야"…방통위에 권고

입력 2019-02-07 12: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가인권위원회는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과 공영방송사 이사를 임명할 때 특정 성별이 전체의 60%를 넘지 않도록 관련 법을 개정할 것을 방통위원장에게 권고했다고 7일 밝혔다.

인권위는 또 방송평가에 양성평등 항목을 신설하고, 미디어 다양성 조사 시 '시사 토크'를 포함하는 등 그 항목을 확대할 것과 자문기구로 성평등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방통위원장에게 권고했다.

인권위에 따르면 이번 권고는 대중매체 중 텔레비전의 이용률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 방송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 양성이 평등하게 참여하도록 하고, 방송을 통한 성 고정관념 확산을 막기 위한 일환이다.

현재 방통위·방심위 임원과 방송 프로그램은 남성 위주로 이뤄졌다. 실제로 방통위원 5명은 모두 남성이고, 방심위원 9명 중 남성이 6명이다. 방통위원이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한국방송공사(KBS) 이사는 전체 11명 중 남성이 9명, 여성이 2명이다.

방심위가 임명하는 방송문화진흥회 이사는 9명 전부 남성이었으나 지난해 8월 여성 2명이 이사로 선임됐다.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이사도 9명 모두 남성이었다가 작년 9월 여성 이사 4명이 선임됐다.

뿐만 아니다. 인권위가 2017년 미디어에 의한 성차별 실태를 조사한 결과, 드라마 등장인물 중 남성은 주로 의사결정을 하는 위치에 있지만, 여성은 남성의 지시를 따르는 보조 역할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

일례로 드라마 등장인물 중 사장이나 국회의원, 의사 등 전문직 비율은 남성이 47%로 여성(21.1%)의 2배 수준이었다. 반면 일반직이나 비정규직, 무직 등으로 묘사된 등장인물은 여성이 50.6%, 남성이 35%였다.

뉴스의 경우 여성 앵커는 주로 연성 뉴스를 소개하는 반면, 남성 앵커는 정치나 국방 등 다소 무거운 주제를 다뤘다.

이밖에도 시사토크 프로그램에서는 남성 진행자가 90%, 여성 진행자가 10%였다. 출연자(총 198명) 중 여성은 21명(10.6%)에 머물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