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근 중기IT부 기자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올해 1∼9월 알뜰폰 가입자는 5만2063명 순감했다. 지난해 5월 9000여 명이 줄어들면서 순감으로 돌아섰고, 같은 해 7월에는 2만여 명의 가입자가 이탈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출범 이후 수익성을 개선하지 못하면서 264억 원(2017년 기준)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알뜰폰이 하락세를 보이는 이유는 현 정부가 보편요금제(월 2만 원·데이터 1GB 이상) 도입 등 이동통신 3사가 통신비 인하 정책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이통 3사는 통신비 인하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선택약정할인 25%를 적용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요금제 개편을 통해 저가 요금제 혜택을 추가로 늘렸다. 이통 3사의 통신비가 떨어지자 상대적으로 알뜰폰의 경쟁력이 약화했다.
여기에 재무 구조가 열악한 알뜰폰 사업자들이 출혈경쟁을 벌여 부실을 자초했다는 지적도 있다. ‘반값요금제’, ‘0원 요금제’ 같은 파격 요금제가 실제로 출시되면서 영업 적자만 불어났다.
알뜰폰을 살리기 위해선 정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1년 이명박 정권 시절 탄생한 알뜰폰은 정부 주도하에 가입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등 표면적 성장을 거두었다. 특히 ‘우체국 알뜰폰’이라는 중소업체들의 알뜰폰 사업을 위한 전국 단위 사업을 시작하면서 한때 알뜰폰이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현 정부에선 주도적 알뜰폰 활성화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 기존의 전파사용료 면제와 도매 대가 인하를 연장하는 데 그쳤다. 이마저도 차일피일 미루다 4개월이나 지난 시점에서 겨우 결론이 나왔다.
최근 정부는 알뜰폰 재도약을 위해 새로운 명칭을 공모했다. 하지만 무관심 속에 이렇다 할 아이디어가 없어 실패로 끝났다. 출범부터 출발선이 달랐던 알뜰폰이다. 알뜰폰이 정부 주도 없이 자생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가 ‘제 2의 우체국 알뜰폰’ 같은 신선한 대책을 내놓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