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 리포트] 미·중 싸움에 새우등 터진 한국 기업

입력 2018-08-28 10: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車 74조 손실 전망…반도체도 먹구름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기업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수출 주도형인 한국은 두 국가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중국은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24.8%·홍콩 포함 시 31.6%)이 가장 높은 국가다. 미국은 중국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데 12%에 달한다. 한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양국 무역의존도는 68.8%에 달한다.

특히 무역전쟁으로 인해 자동차와 철강 업계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정부가 수입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해 25%의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실행에 옮길 경우 자동차 업계는 치명타를 입게 된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향후 5년간 662억 달러(약 73조7000억 원)에 달하는 수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철강업계인 특수강, 선재, 단조 업체들도 수출에 직격탄을 맞게 된다.

중국에 수출하는 중간재 타격도 불가피하다. 한국의 중국 수출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68.7% 수준이다. 이 중 5%가량이 미국으로 재수출되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과 무역전쟁이 격해질수록 한국의 중간재 수출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중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TV가 고율 관세로 타격을 입어 판매가 줄면, 여기에 들어가는 한국산 디스플레이나 전자부품 등이 직접 타격을 받는것이다.

반도체 산업도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하반기 양호한 시장흐름 전망에도 변수가 늘고 있다. 중국산 정보기술(IT) 시장이 위축되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또 중국이 반도체 가격 담합 등을 꼬투리 삼아 국내 기업에 거액의 과징금을 물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998년 IMF 금융위기 전후부터 약 20년간 무디스에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결정한 톰 번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은 최근 ‘미·중 통상전쟁에 대한 미국 측 시각과 한국에의 영향 좌담회’에서 “3월 한미FTA 개정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와 통상법 슈퍼 301조 적용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며 “미중 무역전쟁의 샌드위치에 낀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생산망의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