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습 드러낸 ‘드림라이너’, 대한항공 보잉 787-9 국내에 첫 선

입력 2017-02-27 10: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첨단 고효율 친환경 항공기로 국내 최초 도입

(사진제공=대한항공)

‘드림라이너(꿈의 항공기)’로 불리는 보잉 787-9 차세대 항공기가 국내 최초로 모습을 드러냈다.

27일 대한항공은 인천국제공항 격납고(Hangar)에서 조원태 사장과 임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보잉 787-9 차세대 항공기 도입 기념식을 열었다. 보잉 787-9 차세대 항공기는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고효율 친환경 항공기로, 대한항공이 이달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기내 환경 대폭 개선 = 보잉 787-9 항공기는 탄소복합소재가 50% 이상 사용돼 내구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기압, 습도 등 고객 편의 기능이 대폭 향상됐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기내 기압이다. 기존 항공기의 기압은 백두산(2400m) 수준으로 유지되지만, 보잉 787-9은 한라산이나 지리산(1800m) 수준으로 유지된다. 통상 고지대로 갈수록 기압이 낮아지고 산소가 부족해 쉽게 피로해지는데, 기압을 높여줌으로써 장거리 여행에 따른 피로감을 감소시켜 준다.

기존 약 11% 수준이었던 기내 습도도 15~16% 수준으로 향상 돼 쾌적함이 배가 됐다. 창문 크기도 유사 기종 대비 78% 커졌다. 또한 창문 덮개를 없애고 버튼 조작만으로도 창문의 투명도를 5단계까지 조절할 수 있게 했다. 특수 젤이 삽입된 창문이 설치돼 버튼의 설정 정도에 따라 투명도가 변화한다.

기내 인테리어도 확 달라졌다. 프리미엄 케빈 인테리어가 적용된 기내는 최신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기술로 시간과 환경에 따라 기내 색상과 밝기가 달라진다. 항공기 이륙부터 식사ㆍ음료, 일출ㆍ일몰, 취침, 착륙 등 다양한 객실 조명 설정이 가능해 보다 편안한 기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탄소복합소재 대폭 적용 = 보잉 787-9은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친환경 고효율 항공기다. 탄소복합소재가 50% 이상 (기존 15% 이내) 사용돼 무게를 줄이고 내구성을 높였다. 이에 따라 좌석당 연료 소모율은 20% 이상 개선됐고, 탄소 배출량은 20% 감소했다.

날개 디자인에도 효율성을 담았다. 공기 역학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날개 끝 단 장치인 ‘레이키드 윙팁(Raked Wing Tip)’을 적용, 항력을 감소시켜 연료효율성을 높였다. 엔진도 친환경적으로 설계됐다. 특히 엔진을 둘러싼 덮개(Cowl)에 신기술이 적용돼 엔진 후류로 인한 소음을 대폭 감소시켰다. 또한 터뷸런스 등 갑작스럽게 비행에 영향을 주는 기상상황을 마주했을 때, 이를 감지하고 곧바로 비행 자세를 제어해 동체 흔들림을 줄이는 운항 시스템 기술도 적용됐다.

대한항공은 787-9 항공기 부품도 제작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2006년부터 보잉사의 787 제작ㆍ설계 사업에 참여해 날개 끝 곡선 구조물인 ‘레이키드 윙팁’(Raked Wing Tip), ‘후방 동체’(Aft Body), 날개 구조물인 ‘플랩 서포트 페어링’(Flap Support Fairing) 등 6가지 핵심부품을 부산테크센터에서 제작하고 있다.

◇6월 토론토 마드리드 등 국제선 투입 = 대한항공은 보잉 787-9 항공기를 레저 수요가 풍부한 장거리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새로운 장거리 목적지 등을 개발할 때에도 전략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보잉 787-9 항공기 1호기는 국내에서 무선국 인가, 시범비행 등 필요한 절차를 거친 뒤 3월 중순부터 김포-제주 노선에 투입된다. 이후 토론토, L.A, 마드리드 등 장거리 국제선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이번 보잉 787-9 차세대 1호 항공기를 시작으로 2019년까지 총 10대를 도입해 글로벌 선도 항공사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대한항공의 보잉 787-9의 좌석은 일등석 6좌석, 프레스티지석 18좌석, 일반석 245좌석 등 총 269석으로 구성됐다.

(자료제공=대한항공)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