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채권애널, 7월 금통위 동결…8~9월 인하 기대②

입력 2016-07-08 10:50수정 2016-07-08 15: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월 한국은행 금통위 전문가별 코멘트

◆ 공동락 코리아에셋투자증권 = 1.25% 동결, 8~9월 인하

6월 금융시장의 평균적인 예상보다 이른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진 만큼 인하 효과와 경기여건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2.6%로 성장률 하향조정이 확실시되고, 물가 역시 당분간 상승 부담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연속적인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의 개진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앞서 6월 신임 금통위원들이 본격적으로 회의에 참석한 첫 회의에서 전격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2개월 연속 인하와 같은 종전과 다른 차원의 공격적인 완화를 주장하는 의견도 나올 수 있다고 평가된다.

이번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이 개진된 이후 8월이나 9월에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김동원 SK증권 연구원 = 1.25% 동결, 연내 동결

7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는 내리기 쉽지 않다.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느냐 없느냐 문제다. 금통위에서 크게 금리 정책에 대한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본다. 대신 금통위원들이 주는 시그널을 확인해야 한다.

일단 6월에 이미 기준금리를 인하했고, 7월에 곧장 내릴 정도로 경기가 악화된 상태는 아니라고 본다. 연속적으로 인하할 정도는 아니다.

경제상황이 안 좋은 건 사실이지만, 추경정책이 나왔고 아직 통과되지 않았다. 한은이 재정정책과의 공조를 강조하고 있는 데다, 추경의 효과를 예상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반기 갈수록 환율약세 압력과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만큼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 다만, 금융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유동성 공급에 대한 수요가 있다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겠지만 아직 그 정도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GDP성장률의 경우에는 0.2%포인트 낮출 것으로 본다. 다만, 추경에 따른 성장효과에 대한 언급도 함께할 것으로 예상한다.

◆ 김상훈 KB투자증권 연구원 = 1.25% 동결, 4분기중 인하

이번 금통위는 6월 기준금리 인하 결과를 지켜보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브렉시트(Brexitㆍ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불확실성과 추경의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4분기 중 추가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본다.

성장률은 2.6%로 낮출 것으로 예상한다. 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출이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고, 지난 1분기 GDP(국내총생산)에서 설비투자, 내수소비 등도 마이너스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성장률 자체의 레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 = 1.25% 동결, 9월 인하

7월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한다. 6월 금리인하가 다소 선제적이었다 보니 이번에는 관망할 가능성이 높다. 9월 중 또 한 번의 기준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단, 한 번의 금리인하로는 경기하방 리스크를 막기에는 부족하다고 보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6월 금리인하 이후 브렉시트(Brexitㆍ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변수가 등장한 점도 추가조치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부분이다.

경제성장률의 경우 추경이 있어서 많이 낮출 것 같진 않다. 성장률은 2.6%대로 내릴 것으로 보인다.

◆ 박형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 =1.25% 동결, 연내 1회 인하

6월에 기준금리를 내린 만큼 7월에는 동결 전망이 우세하다. 브렉시트가 아직 유동성 위기로 확대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장 기준금리를 내릴 필요는 없어 보인다.

다만, 연내 한 번 정도 더 내릴 것으로 본다. 경기 하방위험이 브렉시트 때문에 증가한 게 확실하고, 하반기 구조조정 이슈도 있다. 게다가 상반기 내수 쪽 부양책이 하반기에는 많이 희석될 것으로 본다. 게다가 김영란법도 있다.

전반기 경기하방 위험은 상반기보다 높아진 게 사실인 만큼 한 번 더 내릴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은 2.6%로 하향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 몇 년 동안의 흐름이었다. 경기하방 위험이 높다고 한은이 강조해온 만큼, 성장률을 하향할 가능성이 높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