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도박 ‘브렉시트’] 국권 강화·EU 견제 효과… 금융ㆍ수출 경쟁력엔 타격

입력 2016-06-09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브렉시트 後 시나리오는?

“유럽과 영국의 혼인 계약서를 재고해야 하지만 어쨌든 선택은 영국의 몫이다.” ,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다면 레드카펫을 깔고 영국 기업들을 맞이할 것이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여부를 결정하는 국민투표가 임박한 가운데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강대국들 사이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의 브렉시트를 둘러싼 도박이 성공할 지는 미지수다. 다만 장담할 수 있는 건 막연하지만 엄청난 파장이 남을 것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캐머런 총리가 브렉시트 찬반 국민투표 실시를 선언함으로써 보수당의 유로 회의론자들의 입김을 억제하면서 다른 EU 회원국을 견제할 수 있는 효과는 확실시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죽하면 독일 정부의 고위 당국자는 캐머런 총리가 국민투표를 강행하는데 대해 ‘블랙 메일(협박장)’이라고 비판했다. 캐머런 총리 입장에서는 이러한 비판을 감수하고서라도 리스본 조약 개정으로 자국의 권리를 EU로부터 회복하는 한편, 영국의 국익이기도 EU의 단일 제품·서비스 시장에는 머무른다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EU로부터 주권을 탈환한 총리’라는 업적을 국민에게 각인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빚어질 막대한 경제적 영향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사이의 중론이다.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은 EU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EU는 영국 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교역 상대국이기도 하다. EU를 탈퇴하면 EU 시장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이 어려워 영국은 새로운 무역 협정을 체결하는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영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이 크게 떨어져 수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재무부는 지난 4월 EU 탈퇴로 국가의 GDP가 2030년까지 6%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발표했다. 영국산업연맹(CBI)은 95만 명이 실직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산했다.

세계적인 금융허브 런던을 안고 있는 영국은 금융업의 비중이 크다. 업계단체인 시티UK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220만 명이 금융업에 종사하고 이들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넘는다. 영국은 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유로화 금융거래 대부분이 런던시장으로 모인다. EU 탈퇴로 영국에 본사를 둔 혜택이 줄어들면 금융기관이 해외로 이전할 우려도 있다.

금융시장을 통해 세계에 영향이 확산되는 것도 경계되고 있다. 이미 영국 통화 파운드는 매도가 강해지고 있어 달러에 한때 1.4달러가 무너지며 약 7년 만에 최저를 기록하기도 했다.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영국에서의 자금 유출로 파운드 가치가 급락한다는 관측이 강한 반면, 해외 부유층의 부동산 투자를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다. EU 탈퇴로 서방의 결속력이 떨어질 경우 우크라이나와 맞서는 러시아를 이롭게 할 수도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