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도산’ 위협 쫓기는 개성공단 기업… 對정부 대응 ‘장기전’ 대비

입력 2016-03-02 16:39수정 2016-03-02 17: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근로자협의회' 발족, 비대위와 공조… 협력업체ㆍ영업기업도 함께 목소리 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개성공단 근로자 협의회 발대식에서 한 참석자가 머리띠를 두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개성공단 전면 중단 이후 흡족할 만한 정부 보상책이 나오지 않으면서, 입주기업들과 근로자들이 대(對)정부 대응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다. 근로자들은 ‘개성공단 근로자협의회’를 결성해 입주기업들과 공조에 나섰고, 기업인들은 비상대책위원회 활동을 위한 개성공단기업협회 특별회비를 납부하는 등 자체적으로 준비에 나섰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근로자들은 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성공단 근로자협의회를 발족하고 정부에 실질적인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이어 개성공단기업협회 비대위도 '제3차 정기총회'를 열고, 피해 보상에 소극적인 정부에 대해 강한 목소리를 냈다.

GS아트라인 홍재왕 공장장은 이날 근로자 대표로 나서 "국가가 잘못했으면 국가가 책임져줄 것이라는 것은 중학교 3학년생인 내 딸도 알만한 수준"이라면서 "(정부가 개성공단을 전면 중단한 데 대해) 근로자들은 억울한 심정을 어떻게 표현할 지 모르겠다. 어떻게, 어디와 싸워야 하는 지 알려달라"고 호소했다.

정부가 개성공단 전면 중단 결정을 내린 지 20일이 지난 가운데, 근로자들이 이 같이 적극적으로 협의회까지 결성하며 전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비대위 2차 총회까지는 기업인들을 위주로 한 대책 논의가 진행됐다면, 이날을 기점으로는 근로자와 기업, 협력업체들이 함께 대 정부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입주기업들과 근로자들도 이번 사안이 2013년 가동 중단 사태와 달리, 장기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서다.

비대위도 이 같은 차원에서 입주기업들에게 협회 특별회비 납부를 부탁했다. 최근까지 비대위의 활동은 입주기업 일부 대표들의 사비를 통해 운영돼 왔기 때문이다. 정부 보상책을 이끌어내기 위해선 장기전이 전망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금적으로 비대위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2013년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한재권 서도산업 대표는 이날 "2013년도와 달리, 지금은 더 많은 시간이 걸릴 듯해 기업들이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며 "지난달 공문은 발송했는데, 비대위가 오랫동안 운영되기 위해 입주기업들이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줘야 하는 상황인만큼, 특별회비가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 2차 총회까지는 합류하지 못했던 개성공단 영업기업, 협력업체 관계자들도 3차 총회를 시작으로 함께 공조할 방침이다.

개성공단 영업기업협의회 비대위원장을 맡고 있는 영민건설 윤옥배 대표는 "영업기업에 대해선 정부가 내세운 5500억원 규모의 지원책에 해당되는 부분이 극히 일부"라면서 "전체 90개사 중 9개사 정도 해당되는 지원에 불과한만큼, 정부는 대책에서 우리 영업기업을 삭제하든지, 아니면 실질적인 보상을 해달라"고 소리 높였다.

협력업체 대표로 나선 태화상사 김명종 대표도 "프로모션 업체들 10개사 이상이 대책을 논의했지만 현재 도산 위기에 처한 협력업체들은 정부 보상없이는 회생이 불가능하다"며 "완제품, 원부자재 등에 대한 피해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원청업체들과 대립, 갈등 심화로 줄도산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협력업체들도 정부 종합대책반과 별도로 면담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