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자본시장 60년]두번의 석유파동… 위환·금융위기… 다시 도약의 출발선에

입력 2016-01-01 0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8년 국채파동, 개장 후 첫 결제불능… 62년 증권파동으로 73일간 문닫기도

한국 자본시장은 1949년 최초의 증권회사인 대한증권이 설립된 이래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다. 하지만 그 역사를 돌아보면 곳곳에서 고난의 흔적도 고스란히 안고 있다. 첫 고난은 국채파동이었다. 1958년 1월 16일 거래소시장 개장 이후 처음으로 결제불능 사태가 발생했다. 재무부 장관은 다음 날인 1월 17일에 전날인 16일 국채 거래를 모두 무효로 한다고 발표했다. 이른바 ‘1ㆍ16 국채파동’이었다. 1ㆍ16 국채파동은 승자와 패자도 없는 소모전에 불과했으며, 공신력이 생명인 자본시장에 큰 상처만 남긴 채 일단락됐다. 증권업계 자금난은 더욱 심화됐고 투자자들은 한동안 자본시장을 외면했다. 이후로도 한국 자본시장은 몇 차례 고난의 파고를 넘으며 60년을 버텨왔다.

◇1962년 5월 증권파동과 시장혼란, 그리고 그 후유증 = 1962년 5월 증권파동이 벌어지며 국내 자본시장 설립 이후 최대 난관에 부딪히게 된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증권거래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자본시장 육성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거래소 시장은 국채 위주에서 주식 위주로 전환되며 활기를 띠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과열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반년 만에 5∼6배로 오른 주식이 나타났고, 1962년 5월 발행된 대증신주는 액면금액의 30배에 공매되기도 했다. 5월 거래대금은 4월에 비해 2배가 넘는 2520억원에 이르렀다. 결국 매수 측인 통일, 일흥, 동명증권 등은 자금부족으로 결제자금 580억환 중 352억환을 납부하지 못하며 증권파동이 벌어졌다. 증권거래소와 증권금융회사는 빚더미에 빠지고 투자가들 사이에는 자살사건도 발생했다.

증권시장이 결제불이행 위험에 빠지자 증권거래소는 재무부 장관에게 결제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며, 금융통화위원회는 논란 끝에 280억환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증권거래소는 5월 31일 매수측 증권회사의 미결제대금 352억환 가운데 13억5800만환을 매도 측 증권회사에 현금으로 지급했고, 6월 1일 증권회사 대표들과 회의를 열고 해결책에 합의하며 가까스로 결제불이행을 방지할 수 있었다. 5월 증권파동 이후 거래소는 다섯 차례에 걸쳐 휴장과 개장을 반복하며 증권사들은 영업부진과 적자폭 증가로 상당수 문을 닫아야 했다.

◇1970년대 건설주ㆍ석유파동…해외건설경기 호조와 자본시장의 명암 = 1973~1974년, 1978~1980년 2차례에 걸친 국제 석유가격의 상승으로 석유를 소비하는 국가들을 비롯해 세계가 혼란에 빠졌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1973년 제1차 오일쇼크 이후 국제유가 급등으로 막대한 오일 달러를 벌어들인 중동지역 국가들은 대규모 건설공사가 포함된 경제개발계획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 국내 건설업체들은 불황에 빠진 국내 건설경기를 타개하고자 해외로 눈을 돌려 중동 진출 열풍을 이뤘다. 정부도 1975년 12월 대중동진출 촉진 방안을 수립하고 해외건설과 인력송출을 지원했다. 해외건설 활황은 자본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가는 건설과 무역업종을 중심으로 급등하기 시작하며 과열 양상을 보였다. 건설업종지수는 1975년 이후 연평균 100%를 훨씬 넘는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1978년 강세로 출발한 주식시장은 건설주가 다시 앞장서며 과열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6월 말부터 증권거래세 신설과 시가발행제도 도입 검토설이 나돌고, 유상증자의 집중으로 물량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건설주 가격이 꺾이기 시작했다.

종합주가지수는 1978년 정점을 찍은 이후 제2차 오일쇼크와 10ㆍ26사태 등을 겪으면서 1980년 말까지 39% 하락했다. 특히 건설주는 1978년 초를 100으로 할 때 1978년 6월에는 199, 1978년 말에는 90을 기록하며 큰 진폭을 보였다. 건설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하락세를 보인 이유는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의 불균형, 그리고 빈번한 유통시장의 규제조치 등으로 주식시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97년 외환위기와 IMF체제 도래 = 1997년 한보사태로 시작된 대기업 연쇄부도는 외환위기를 불러와 나라 전체가 부도위기에 처하고, 급기야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는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이어 삼미, 진로, 뉴코아 등의 대기업들에서 경고음이 울렸고, 급기야 10대 그룹에 속했던 기아, 한라 등이 부도를 맞았다. 기업 연쇄부도로 실업자 수는 급증해 1998년 160만명을 넘어섰고, 실업률은 7.6%에 달했다. 또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30%대의 살인적인 고금리와 60%대의 낮은 공장 가동률 속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수만개에 달하는 기업이 문을 닫았다.

대기업 연쇄부도에 따른 국내 금융산업 위기는 증시 폭락사태를 통해 총체적 경제위기국면으로 확산됐다. 주식시장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팔고 보자는 투매현상이 연일 이어졌고,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시장에서 철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정부가 외국인 투자자들을 붙잡으려고 IMF 양해각서에 의거, 종목당 투자한도를 50%까지 확대했음에도 외국인들은 주식을 대거 처분해 주가 폭락을 주도했다.

1997년 7월 종합주가지수는 726포인트에서 시가총액 134조660억원이었으나 외환위기 영향으로 그로부터 1년 뒤인 1998년 8월에는 310포인트에 64조6400억원으로 절반 이상이 줄어들었다. 코스닥지수도 같은 기간에 133포인트, 8조8090억원에서 63포인트, 4조5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지수 하락은 1980년 이후 최대였으며 증시침체는 장기간 이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