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한전 부지 개발에 또 다시 불거진 박원순·신연희 갈등 '눈살'

입력 2015-10-01 14: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사건건 의견 대립을 보여온 박원순 서울시장과 신연희 강남구청장이 현대자동차 한전 부지 개발을 두고 또 다시 각을 세우고 있다. 양측의 반기와 반박이 거듭되면서 갈등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지난달 30일 서울시는 한전부지에 들어설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높이를 115층에서 105층으로 낮추는 등의 내용을 담은 개발계획을 제출, 본격적인 사전협상에 돌입한다고 발표했다.

서울시의 이같은 발표 이후 강남구는 “서울시가 관련 규정까지 바꿔가며 협상조정협의회에 우리를 끝까지 배제한 건 헌법의 지방자치제를 무시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강남구는 “서울시는 중앙정부에 강남특별자치구 설치를 건의하라”라는 주장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현재 강남구는 ‘국제교류복합지구’구역을 송파구의 잠실운동장까지 확대한 서울시의 변경안에 대해 한전부지 개발로 나오는 공공기여금(1조7030억원)을 강남구 개발사업에 써야 한다며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코엑스부터 잠실종합운동장까지 포괄적인 개발에 공공기여금을 활용한다는 입장이지만 강남구는 영동대로 일대 개발에 최우선 사용해야 한다며 반기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와 강남구의 대립은 세텍(SETEC) 부지 제2시민청 건립에서도 나타났다. 강남구가 서울시의 세텍 부지 내 가설건축물 용도를 문제삼아 ‘존치기간 연장신고’를 수리하지 않자 서울시가 행정심판위원회에 ‘존치기간 연장신고 의무이행심판’을 청구해 존치기간을 2018년6월30일까지 연장한다는 재결을 받아낸 것이다. 결국 강남구는 “해당 가설물을 무단으로 용도변경해 사용한 서울시에 수차례 시정을 촉구했지만 오히려 위법을 합법화했다”며 “명백한 규정 위반”이라고 날선 비판을 했다.

이에 서울시는 강남구의 연장신고 수리 보류로 제2시민청 조성사업에 막대한 차질을 빚었다며 다시 맞불을 놨다.

양 측의 이같은 갈등은 박 시장이 2012년 취임한 뒤 구룡마을 개발 방식을 바꾸겠다고 발표했을 때부터 시작됐고, 일단락 되는 듯 하던 갈등은 메르스 사태 당시 박 시장의 ‘심야 긴급 브리핑’을 두고 신 구청장이 “강남구는 완전히 폭탄을 맞은 격이 돼 버렸다”며 공세수위를 높이면서 또다시 불거졌다.

박 시장과 신 구청장의 계속되는 충돌에 김현기(새누리당·강남4) 의원은 “‘좁쌀 시장’과 ‘히스테리 구청장’ 같다”고 대놓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와 강남구의 마찰이 개발사업을 둘러싼 단순한 싸움이 아닌 다른 당적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 때문이라고 분석하며 소모적인 기싸움이 시정운영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