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무공해 ‘수소연료전지버스’시범 운행… 친환경車 보급 앞장

입력 2015-05-27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자동차가 수소연료전지차 세계최초 양산에 이어 수소연료전지 버스 시범운행으로 친환경차 보급에 앞장선다.

현대차는 27일 울산시와 ‘수소연료전지 버스 시범운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친환경 수소연료자동차 기술개발과 산업육성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

윤갑한 현대차 사장은 이날 “이번 협약은 울산이 산업수도에서 ‘환경수도’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후세들에게 보다 나은 환경을 물려주기 위해 친환경 자동차 개발·보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내달 4일부터 내년 4월까지 수소연료전지 버스를 울산시에 무상 임대한다. 수소연료전지 버스는 1년 동안 울산시의 각종 행사 인원수송과 의전차량으로 활용된다. 이 회사는 시범운행을 통해 이 버스의 성능과 친환경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 버스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 반응시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로 구동되는 차세대 친환경 무공해 차량이다. 무공해 차량답게 배기가스 대신 물만 배출되며 최고 속도는 100km/h, 1회 충전 시 440km를 주행할 수 있다.

이번에 시범 운행되는 수소연료전지 버스는 2세대 모델로 대용량 수소 연료탱크(1640리터)를 적용하는 등 일반버스 수준의 동력성능과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현대차는 내달 중 광주시와 수소연료전지버스 시범운행 업무협약식을 맺고 울산시와 동일한 16인승 리무진 수소연료전지 버스 1대를 운영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2004년 수소연료전지버스 개발에 착수해 1세대 모델을 2006년 독일월드컵 시범운행과 정부과제 모니터링 사업(2006~2010년)에 투입했다. 이후 2009년에는 개선된 연료전지 시스템과 자체 개발한 영구자석 모터를 적용한 2세대 모델을 개발해 인천 국제공항 셔틀버스(2012년 9월~2014년 6월)와 서울 월드컵공원 에코투어(2013년 6월~계속)에 무상 임대한 바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향후 3세대 수소연료전지버스 개발을 추진하는 등 투싼 수소연료전지차, 전기버스,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과을 앞세워 정부의 그린카 개발·보급정책에 주도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