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 기업구조조정 정책 제2차 세미나'… IBㆍPEF 등 역할 강화 필요
자본시장을 통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위해 IB(투자은행)와 PEF(사모투자펀드)의 역할을 강화하고 기능을 활성화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국가미래원이 주최한 '선제적 기업구조조정 정책 2차 세미나'(자본시장을 통한 선제적 기업구조조조정)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 참여한 홍기택 산업은행장은 "국내 기업구조조정은 부실이 심화된 상태에서 사후적인 방식으로 진행돼 사회ㆍ경제적으로 막대한 비용을 초래한다"며 ""M&A, PEF, NPL 등 자본시장 툴을 적극 활용하는 선제적인 구조조정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후 이뤄진 종합토론에서 박수근 삼일회계법인 부대표는 "선제적 구조조정이 상시적으로 이뤄져야 사후적 구조조정이 줄어들어 사회적 비용과 채권단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선제적 구조조정에서 특히 IB와 PEF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들 산업을 육성시키기에는 정책적인 규제가 많다"고 밝혔다.
정책규제뿐 아니라 자본위험(에쿼티리스크)를 회피하려는 투자환경이 문제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임유철 H&Q 파트너는 "대부분의 PEF는 투자할 때 원금보장성의 딜 구조를 짠다"며 "자본위험을 감수하고 구조조정 기업에 자금을 투자하기는 어려운 분위기"라고 전했다.
그는 "펀드의 주요 LP(투자자)인 연기금, 공제회, 생명보험사들이 원금보장성의 딜 구조를 원하는데, 펀드에 투자해 손실이 날 경우 여러가지로 곤욕스러운 상황에 처하기 때문"이라며 "이같은 투자 환경에서 자본 위험을 안고 구조조정 기업에 자본을 투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명호 금융위원회 구조개선정책관도 "PEF 시장을 보면 건설, 조선 등 산업 정책적인 측면에서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이보다는 정상에 가까운 기업에 주로 투자를 하는데 이는 투자 손실을 용납하지 못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례로 부실 기업을 선제적으로 구조조정 할 경우 사회적ㆍ경제적 비용이 초래되지만, 그러한 선제적인 비용 지출을 우리 사회가 용납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라며 "이런 분위기 때문에 자본시장 플레이어들이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얻기 보다는 미들리스크, 미들일드인 기업에 주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향후에는 IB와 PEF들이 자본위험을 안고 선제적인 기업구조조정 과정에 참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유철 H&Q 파트너는 "과거와 비교해 보면 메이저 LP들이 어느정도 위험을 감수하고 높은 수익을 얻으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4~5년 후가 되면 구조조정 기업의 메가딜에도 큰 펀드들이 참여해 투자 수익을 올리는 분위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