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3분기 영업손실 사상최고 1조9346억…누적 손실 3조 초과

입력 2014-10-30 16: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악화, 조선분야와 플랜트 부분 공사손실충당금 탓

현대중공업이 지난 3분기 1조934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올해 누적 영업손실이 3조2272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3분기 매출액은 12조4040억원, 당기순손실 1조460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분기 1조1037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현대중공업은 1분기 만에 분기 최대 손실 기록을 갈아치웠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3.2% 감소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폭이 확대됐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부문에서 저선가 물량의 비중이 확대되고, 세계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라 전기전자 및 건설장비 부문에서 판매가 부진해지며 매출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며 “영업손실은 조선분야와 플랜트 분야의 공사손실충당금과 공정지연에 따른 비용증가가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현대미포조선과 현대삼호중공업을 포함한 조선부문에서 실적 악화가 컸다. 반잠수식시추선과 5만톤급 석유화학제품운반선 등 건조 경험이 부족한 특수선박, 어려운 사양의 선박에 대한 작업일수 증가로 공사손실충당금 4642억원 포함 1조1459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플랜트부문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사우스’와 ‘슈퀘이크’ 등 대형 화력발전소 공사에서 공사손실충당금 5922억원을 포함 7791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해양부문에서는 발주처와 계약변경(change order)을 통해 가격을 3억1000만 달러 증액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매출은 1조2041억원을 기록, 전분기 대비 3537억원이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손실은 103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영업손실 3740억원과 대비, 손실폭은 개선됐다.

이 관계자는 “새로운 경영진 취임으로 모든 분야에 걸쳐 개혁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4분기에는 반드시 흑자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실적 개선을 위해 전사적 노력에 나섰다. 이 회사는 임원축소, 조직개편을 시작으로 고강도 개혁작업을 진행 중이다. 향후 본부장에게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 사업본부별로 수익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전략을 펼쳐 나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