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70조 달러 그림자금융…세계 금융안정 해쳐”

입력 2014-10-02 15: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제통화기금(IMF)이 글로벌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금융위기를 촉발시킬 수 있는 ‘그림자 금융’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1일(현지시간) IMF는 ‘국제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최근 몇 년 사이에 경제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의 그림자금융 규모가 빠르게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서 산출한 지역별 그림자금융 규모를 살펴보면 △미국 15조∼25조 달러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 13조5000억 달러∼22조5000억 달러 △신흥국 약 7조 달러로 각각 나타났다. IMF는 특히 신흥국의 경우 그림자금융 성장 속도가 기존의 금융시스템 성장 속도보다 빠르다며 전 세계적으로 70조 달러에 이르는 그림자금융이 금융안정을 해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림자금융(shdow banking system)은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은 금융기관간의 거래를 일컫는다. 일반적인 금융시장과 달리 투자대상의 구조가 단순하지 않아 손익이 불투명한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림자’라는 표현을 붙힌 것도 투명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IMF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드리워지면 단기성 자금에 의존도가 높은 그림자금융도 연관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위기가 닥쳐오면 그림자금융의 투자자들은 짧은 시간 내 자신의 돈을 돌려받기 위해 (단기성 자금으로) 자산매각이나 물가 악순환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전체 금융위기의 3분의 1을 그림자금융이 차지하고 있다.

유로존의 경우 이 같은 그림자금융이 기업대출과 같은 비유동성자산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투자자들이 현금화를 요구한다면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고 IMF는 지적했다.

신흥국 중에 중국의 경우 그림자금융의 규모가 향후 20여년 동안 GDP의 성장률 35∼50%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IMF는 그림자금융의 효율성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순기능도 있다는 점을 넌지시 전했다. IMF는 그림자금융이 규제가 많은 신흥국이 신용의 범위는 넓힐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선진국의 경우 은행권이 개인대출을 줄이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에 대한 장기 신용을 (그림자금융이)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IMF 보고서는 국가들이 전체 금융시스템 정책을 구상할 때 그림자금융을 일부분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