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캐나다FTA서명] 산업부, 포스트FTA 무역국 키운다

입력 2014-09-22 08:52수정 2014-09-22 08: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의 통상정책이 기존 통상영토 확대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다. 개도국과의 통상확대와 개발지원을 통해 포스트 FTA파트너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윤상직 산업부 장관과 한덕수 무역협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고 협력 대상 국가를 무역협회(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대한상의(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전경련(카자흐스탄)이 나눠 진출 사업을 추진하는 중앙아시아 경제협력위원회를 발족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경협과 연계한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 방안을 연구하고 동북아 전력망·가스관· 송유관 등 에너지 인프라사업, 철도 등 유라시아 물류망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현재 카자흐스탄 등과 EPA에 관한 득실을 꾸준히 연구 중"이라고 언급했다. 여기엔 카자흐스탄 등 일부 중앙아시아국가들의 경우 러시아와 무관세 무역이 가능하다는 점도 고려됐다.

또다른 미체결국인 브라질과의 통상애로 해소에도 적극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최근 브라질 표준인증 기구인 국립계량품질연구원에 한·브라질 표준인증 협력센터를 개설했다. 브라질에 수출하려는 국내 기업들이 무역장벽으로 여기는 현지 기술규제를 완화하기 위해 양국간 표준인증 협력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특히 브라질의 경우 자원강국이라 통상당국이 FTA 체결을 통해 오랫동안 공을 들이고 있다.

이밖에 산업부는 지난 4월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개발 컨설팅 사업'을 신설했다.

국내 기업이 동남아, 독립국가연합(CIS·옛 소련권 국가), 중남미, 아프리카 지역에 있는 주요 개도국의 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업을 발굴, 지원하는 것이다. 단순 원조에서 벗어나 경제 자립을 위한 산업분야의 중장기 먹을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컨설팅에서 시작하는 이 사업이 실행단계로 들어서면 우리 기업이 현지 정부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필요한 기술과 물품을 수출하는 길도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