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경매 낙찰가율 역대 최고

입력 2014-08-10 19: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경매시장에서 상업시설(상가) 낙찰가율이 13년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근 아파트 월세 이율이 낮아지고 월세 소득에 대한 과세방침으로 투자자가 상가에 투자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법원경매시장에 나온 상업시설의 낙찰가율은 평균 64.2%로 나타났다. 이 업체가 경매 정보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1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1∼7월 기준으로 상업시설의 낙찰가율은 2003년 최고 63.7%까지 올랐으나 이후 2005년 52.1%, 2009년 51.6%, 2011년 57.8% 등 50%대로 떨어졌다. 그러다 2013년 61.2%로 다시 60%를 넘기고 올해 들어 역대 가장 높은 64.2%로 올라섰다.

반면 경매에 부쳐진 상가 물건수(경매 진행건수, 이하 1∼7월 기준)는 올해 들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물건이 줄면서 입찰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올해 상업시설 물건당 평균 응찰자 수는 2.9명으로 2001년 이래 가장 높았다. 실제로 지난달 22일 입찰한 은평구 대조동 한 근린상가에는 응찰자 53명이 몰리면서 낙찰가격이 감정가 19억4000만여 원의 151%인 29억3900만원까지 올랐다.

상가 경매에 입찰자가 몰리는 이유는 주택 월세 이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시장 금리가 낮아지면서 집주인이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아져 공급량이 늘었다. 한국감정원이 지난 1일 발표한 월세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월세가격은 16개월째 감소하고있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주택 매매시장과 임대시장이 침체를 보이면서 상업시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졌다”며 “안정적인 수입을 올릴 수 있는 근린상가에 대한 인기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