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금통위원은 지난달 12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2.7%)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일 공개된 한은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원화 강세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 수요 측면의 미약한 물가 상승압력 등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 경우 물가안정목표 하한인 2.5%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언급했다.
한은은 지난 4월에 올해 물가상승률을 2.1%(상반기 1.5%·하반기 2.7)로 전망했으며 오는 10일에 수정전망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기준금리를 조정할 때 25bp(1bp=0.01%포인트)가 아닌 그 이하로 조정폭을 낮출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 위원은 최근 헝가리 중앙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이 정책금리를 10bp 인하한 것과 관련해 “한은도 현재와 같이 기준금리 수준이 낮은 상황에서는 기준금리를 기존의 관행대로 25bp씩 조정하기보다는 기준금리를 10bp씩 조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한은 집행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기준금리를 10bp씩 조정할 수는 있겠으나, 이 경우 시장금리에 영향을 주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경상수지 흑자의 원인이 기업들의 해외직접 투자 증가에 따른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한 위원은 “국내시장에서 구매력을 확데하는 데 한계에 봉착한 기업들이 해외 직접투자를 늘리고 있어 결국 국내투자가 해외 직접투자로 대체되고 있다”며 “이는 경상수지 흑자의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원화절상의 원인은 경상흑자 외에 외국인 단기투자자금 유입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한 위원은 “최근 원화가 절상한 데에는 경상수지 흑자 외에도 외국인 단기투자자금의 유입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 때나 유출될 때나 상당한 우려가 있는 만큼 국내투자자의 국외투자를 통해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