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성장·日 아베노믹스 실패가 아시아 경제에 큰 타격 될 수 있어”
중국과 일본이 아시아 전체 시장의 전망을 위협하는 요소로 부상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고 28일(현지시간) 미국 CNBC가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이 자국 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으로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고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정책 ‘아베노믹스’가 역풍을 맞게 된다면 아시아 전체 시장으로선 대재앙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IMF는 올해 아시아 경제성장률 전망을 종전의 5.3%에서 5.4%로 소폭 상향조정하면서도 이러한 우려를 제기했다. 지난해 5.2% 성장한 이후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내년에는 5.5%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아시아 시장이 역외 금융시장에서 촉발된 리스크를 비롯해 여러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IMF는 “미국의 경기 성장세가 개선되면서 각국의 금리가 오르게 되면 아시아 시장이 상황이 더 퍽퍽해질 것”이라면서 “자금 흐름과 자산 가격 변화가 주가·환율·채권 가격 변동과 함께 동반해서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IMF는 아시아 지역 경제는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선진국의 경기 회복세와 함께 나타난 아시아 역외 국가의 수요가 증가가 대부분 아시아 국가의 내수도 꾸준히 촉진할 것이란 설명이다. 이창용 IMF 아시아·태평양국장은 “선진국 경제가 고비를 넘기면서 선진국에 대한 수출에 의존도가 높은 상당수의 아시아 국가가 경기 회복을 위한 자금 확보에 한 시름 덜었다”면서 “이는 우리가 아시아 지역의 경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시아는 물론 글로벌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과 일본의 리스크를 배제할 수 없다고 IMF는 지적했다.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7.5%로 내년에는 이보다 0.2% 포인트 낮은 7.3%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그림자 금융을 비롯해 중국 지방정부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고조된 상황에서 제조업 경기마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0%를 웃돌면서 이러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본의 아베 총리의 경기부양책도 예상보다 효과가 저조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임금 상승은 없이 소비세만 올리는 꼴이 돼버리면서 인플레이션과 개인투자를 끌어올린다는 아베 정권의 의도에서 멀어질 수 있게 됐다고 IMF는 지적했다. IMF는 올해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1.4%, 내년은 1%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