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할때 알아두면 좋은 보안상식

입력 2014-04-02 08:40수정 2014-04-02 08: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스마트폰 악성앱이 새로운 방식으로 진화하면서 사용자들의 보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스마트폰 악성 앱 조사 결과 ARS 인증우회 등 새로운 사기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현재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전 국민의 3분의 2인 3782만명에 달한다. 스마트폰은 인터넷 검색은 물론 각종 결제 등 금융생활까지 할 수 있는 밀착형 생활기기로 진화했다. 이와함께 악성 앱으로 인한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ㆍ접수된 스마트폰 악성 앱은 2012년 17건에 불과했지만, 2013년 2353건으로 1년새에 138배나 껑충 뛰었다.

최근 스마트폰 악성 앱은 사기 목적의 스미싱 이외에도 원격제어ㆍ공인인증서 탈취 제어 등 악성기능을 하나로 결합했다는게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큰 금액을 빼돌릴 수 있는 전자금융거래도 공격대상에 포함된다.

이같은 악성 앱으로부터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지키려면 무엇보다 사용자의 보안 인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정식 마켓이 아닌 블랙마켓의 앱을 설치해서는 안되고, SNS에 포함된 수상한 URL은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으니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 금융거래에 사용되는 공인인증서는 USIMㆍUSB 등 안전한 저장장소에 보관하면 해킹으로 인한 정보유출을 막을 수 있다.

스마트폰 기기의 보안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부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플랫폼 자체를 변경시키는 일명 ‘탈옥’을 하게 되는데, 이는 보안에 심각한 취약점을 보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스마트폰 전용 백신을 설치하고 실시간 탐지 기능을 활성화하면 지속적인 공격을 막을 수 있다. 운영체제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해 보안패치를 받고 정기적으로 보안점검을 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