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설 이후 ‘개각’ 가능성… 대상과 범위는?

입력 2013-12-26 09: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재·국방·미래 장관 등 교체 대상… 이한구·김광두 등 벌써부터 후임 거론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2년차를 맞아 2월 중 개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청와대는 경제부총리를 포함한 각 부처 장관들에 대한 업적 평가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져 박 대통령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개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간 청와대 내에서도 개각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연초부터 개각이란 무리수를 둘 수는 없다”면서 “설 연휴가 지나면 좀 여유가 생길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취임 1주년을 즈음해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다만 개각의 폭은 그리 넓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과 철도노조 파업 장기화 등으로 어수선한 분위기를 다잡고 일부 부족한 곳에 추진동력을 불어넣는 정도의 ‘소폭’ 개각이 현재로선 더 좋은 방법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특히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대대적인 장관 물갈이에 나설 경우 오히려 야당에 공격의 빌미만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바람에 전 정권에서 청문회를 거치며 검증을 거쳤던 전직 부총리와 장관 등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청와대의 자체평가를 토대로 성적이 좋지 않고 박 대통령으로부터 몇 차례 지적을 받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교체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의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창조경제를 비롯해 복지확대, 일자리 창출 등 국정과제 핵심 분야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일부 업무능력이 떨어지는 장관은 교체하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했다.

개각 대상 1순위로는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꼽힌다. 리더십 부재에 대한 여권의 질타가 많았고 성과 역시 미달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박 대통령의 ‘경제교사’로 불리는 새누리당 이한구 의원과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등이 벌써부터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명박 정부 때부터 일해 온 김관진 국방장관과 지지부진했던 창조경제 분야의 성과를 내기 위해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염두에 둔 일부 장관들이 자진해서 나갈 것이란 얘기도 들린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도 ‘조용히’ 인사개편을 진행 중이다. 서울경찰청장으로 임명된 강신명 사회안전비서관 자리에 구은수 전 경찰청 외사국장이 올라갔고, 이혜진 법무비서관과 정영순 여성가족비서관이 사의를 표명하고 떠난 뒤 현재 공석으로 남아 있다.

지난 달엔 국가안보실 산하 김희철 위기관리비서관이 신인호 육군 준장으로 교체됐고, 앞서 10월엔 과학기술비서관에 양성광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선도연구실장이 새로 부임했다.

또 이전 정부 때부터 근무해 온 행정관들까지 교체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청와대의 물갈이 폭은 최대 절반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