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체감경기 두달 연속 ‘뒷걸음’…내달 전망↓

입력 2013-07-29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월 제조업 체감경기와 8월 업황 전망이 모두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29일 ‘2013년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를 통해 제조업의 7월 업황BSI는 72로 전월비 7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업황BSI는 지난 6월(79) 7개월 만에 하락한 이후 두달 연속 내림세다.

8월 제조업 업황전망BSI도 73으로 전월비 5포인트 떨어졌다. 업황BSI와 마찬가지로 두달 연속 하락세다.

이는 부문별 업황BSI와 업황전망BSI가 모두 줄었기 때문이다. 대기업(75, 7포인트↓), 중소기업(69, 6포인트↓), 수출기업(78, 7포인트↓), 내수기업(69, 6포인트↓)의 업황BIS는 전월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업황전망BIS도 대기업(76, 5포인트↓), 중소기업(70, 5포인트↓), 수출기업(80, 6포인트↓), 내수기업(69, 4포인트↓) 모두 감소했다.

제조업의 경영애로사항으로는 내수부진,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각각 23.1%, 19.7%로 가장 많았다. 자금부족과 환율을 선택한 기업의 비중은 하락한 반면 수출부진과 경쟁심화를 선택한 기업의 비중은 전월보다 상승했다.

비제조업의 7월 업황BSI는 67로 전월비 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엔 상승했으나 이달엔 하락했다. 8월 업황전망 BSI도 67로 2포인트 줄었다.

비제조업의 경영애로사항도 내수부진,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각각 21.2%, 17.2%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내수부진을 선택한 기업의 비중은 전월보다 하락한 반면 자금부족과 불확실한 경제상황을 선택한 기업의 비중은 상승했다.

기업과 소비자심리지수를 종합한 ESI도 제조업 심리지수가 하락하면서 92로 전월비 1포인트 감소했다.

한편 한은은 향후 경기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매달 전국 27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BSI를 집계한다. BSI가 100 이상을 나타내면 미래 경영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경영자들이 더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인 경우에는 그 반대의 뜻이다. 경영자들의 체감 지수를 조사함에 따라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요소들을 잘 알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