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리커창, 리코노믹스 포기하나

입력 2013-07-11 17: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부양책 자제할 것 vs. 디플레 우려 현실화 결국 손들 것

▲경기둔화로 3월 총리 취임 이후 최대 위기를 맞은 리커창이 개혁을 지속할지 후퇴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리 총리가 전날 광시성 성도인 난닝시에서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연설하고 있다. 난닝/신화뉴시스

중국 시리 시대를 대표하는 경제정책인 ‘리코노믹스’가 최대 위기를 맞았다.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는 경기부양책을 최대한 자제하고 소비 주도로의 경제성장 모델 등 개혁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러나 최근 경제지표가 잇따라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리 총리가 이른바 ‘리코노믹스’를 유지할지 과거의 경기부양책으로 회귀할지 전망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중국의 지난 2분기 성장률은 7.5%나 그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지난달 수출이 3.1%, 수입이 0.7% 각각 감소하는 등 경제지표는 경기둔화 심화를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무역통계를 집계하는 해관총서의 정웨성 대변인은 “중국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고 우려했다.

그럼에도 리커창은 이전의 후진타오·원자바오 시대와 달리 경기부양책 시행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다.

이는 과거와 같이 고성장을 추구해 개혁을 뒤로 미뤄서는 안되는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문가나 중국 정부 관리들 모두 중국이 과거 두자릿수 성장을 추구하는 시대로 회귀하지 않을 것이며 그래서는 안 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문제는 경기둔화가 너무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중국 정부가 단기 고통을 감수하더라도 경기부양책을 억제하는 등 기존 개혁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과 디플레이션 우려 현실화에 리커창이 결국 백기를 들고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장즈웨이 노무라홀딩스 이코노미스트는 “올 하반기의 중국의 성장률이 7% 밑으로 떨어질 확률이 30%”라며 “아직까지는 정부가 금융위기를 억제하고자 지금과 같은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쉬가오 에버브라이트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둔화는 이미 매우 빠르다”라며 “자칫 대량의 실업사태로 이어질 수 있는 디플레이션에 중국이 빠질 수 있다. 이는 지도부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조만간 부양책이 나올 것에 베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