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제시하는 창조경제, 이렇게 가야한다

입력 2013-06-12 09:21수정 2013-06-12 13: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창조경제 성공을 위해서는 갑을 문화가 사라져야 한다.”

전문가들은 창조경제 개념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 벤처기업이 공정하게 경쟁할수 있는 여건마련이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남민우 벤처기업협회장(다산네트웍스 사장)은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는 ‘창조경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서는 현재 우리나라에 팽배한 힘의 논리에 기반을 둔 갑을 문화가 사라지고 협업과 상생을 위한 기업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정부는 창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성공한 벤처 사업가도 서너번은 실패한다. 하지만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 등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한다.

남 회장은 대기업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남 회장은 “벤처 투자가 선순환되는 창조경제 생태계를 만들려면 대기업이 더욱 과감하게 벤처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서야 한다”면서 “이는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잡아먹은 게 아니라 키운 것으로 봐야 한다. 다만 대기업들은 벤처기업에 대해 을로 인식하는 게 아니라 파트너로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창조경제에서는 혁신 비용을 판매 수량으로 나눈 ‘창조원가’가 바로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설명한다.

초대 벤처기업협회장을 지낸 이 교수는 2009년 ‘창조경제연구회’를 만들어 ‘창조경제’라는 단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인물이다. 이 때문에 ‘창조경제 전도사’로 불린다.

그는 창조경제의 3대 축으로 △기술(메타기술) △혁신 생태계 △개방 플랫폼을 꼽으며 “실제 창조물 거래가 세계 최대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고, IT 특허 거래만 2조원이 넘어서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교수는 중소·벤처가 개발한 창조적 제품으로 전 세계 시장을 개척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고, 반대로 대기업의 내부 혁신은 중소·벤처에 비해 10배 이상의 고비용 구조가 되기 때문에 대기업의 시장과 중소·벤처의 혁신이 결합, 협력관계를 이뤄가야 한다고 말한다.

정태명 성균관대 교수는 박근혜 정부가 창의력과 상상력을 인정하는 문화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 교수는 “발명과 디자인, 창작 등 소프트파워를 창출할 창의력과 상상력을 짓밟는 교육체계와 남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환경에선 절대 창조경제는 생기지 않는다”면서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걸림돌을 해소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김병도 서울대 교수는 창업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무작정 창업을 독려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창업을 통한 성공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는 삼성 이상의 기업이 나와야 하는데 나올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 기업들은 자식에게 대물림하려 하고 이 때문에 똑똑한 아이들은 창업하지 않는다. 아무리 열심히 해도 로열패밀리가 될 수 없다고 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소유경영이 있는 한 기업가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는 좋아질 수 없고 진정 창조경제 성공을 위해서는 미국처럼 주식만 갖고 지배권은 내놓는 구조로 기업도 변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