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독식·저가 상품 ‘식민지화’ 우려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아프리카 최대 무역국으로 부상했지만 아프리카 현지에서는 새로운 ‘식민주의’라는 경계론이 확산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대표적인 경제학자인 라미도 사누시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3월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에서 “중국은 더는 저개발경제국으로서의 동료가 아닌, 서구와 같이 우리를 착취할 수 있는 세계 2위 경제대국일 뿐” 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또 중국이 아프리카의 자원을 독식하는 동시에 중국산 저가 상품의 시장으로 아프리카를 식민지화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FT에 따르면 두 지역의 무역액은 지난해 2000억 달러(약 219조2000억원)로 12년 전에 비해 20배 늘어난 반면, 아프리카 국내총생산(GDP)에서의 제조업 비중은 12.8%에서 10.5%로 오히려 줄어 이러한 주장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이는 중국의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현지 제조업을 육성하는 등 경제성장에 기여하기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노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누시 총재는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광산과 인프라를 건설할 때도 자국의 설비와 노동력을 동원할 뿐 현지에는 기술이전을 해주지 않았다” 고 강조했다.
또한 정권의 도덕성과 관계없이 투자를 하는 중국의 ‘내정 불간섭주의’ 자원 외교 역시 독재·부패 정권의 유지를 간접적으로 돕고 있다는 논란을 확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는 어쨌든 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이미지가 변화하고 있으며 신식민주의 공포는 과장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이 일자리 창출과 기술이전·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인식도 확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러구 중국 수출입은행 총재는 지난 4월 중국 펑황재경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상호 이익이라는 기초 위에 교류를 진행해왔다”며 신식민주의화 논란을 반박했다.
루샤예 중국 외교부 아프리카사 국장은 시 주석의 아프리카 방문에 앞서 “중국은 내정 불간섭라는 원칙을 고수하되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는 반평화적인 사태에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입장 변화를 암시했다.
그는 이와 함께 고위층에만 집중했던 중국 원조의 수혜를 아프리카 민중들이 직접 받을 수 있도록 확대하고 중국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 상호 이익의 원칙이 지켜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