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에서 월세 전환시 연소득 대비 11% 추가부담 발생

입력 2013-05-30 10: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세가구가 월세로 전환하는 데 드는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주택 월세시장 분석'에 따르면 4월 기준 수도권 전세아파트를 월세로 전환할 경우 중간가격(1억6350만원 기준)대에 거주하는 가구가 얀간 약 577만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연소득 대비 11%, 여유자금(소득-지출) 대비로는 51.3%가 더 필요한 셈이다.

특히 전세가격이 낮을수록 월세 전환으로 인한 부담은 상대적으로 컸다. 전세가격 하위 20%와 상위 20% 기준 전월세전환률은 각각 10.36%, 7.16%이며 월세 전환으로 인한 소득대비 추가 부담 비율은 각각 24%, 9%였다.

연구소는 월세전환 부담으로 인해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 속도가 다소 늦춰질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월세가구 증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월세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1~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저금리와 경제성장률 둔화 등으로 임대인들의 월세 전환 요구도 계속될 것이란 예측이다.

기경묵 KB 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전세가구가 월세가구로 전환하는데 추가 부담이 커 월세 전환이 증가하면 임차가구의 가계부담이 커지고, 특히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저축 및 소비 위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며 "장기적으로 월세가구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월세가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임대수익률은 4.18%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저가 및 소형 아파트의 수익률이 고가 및 대형아파트보다 높게 나타나 소형주택을 중심으로 월세시장이 활성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경기도와 인천지역 소형 아파트의 수익률은 각각 4.90%, 4.72%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서울(3.65%), 수도권 대형 아파트(3.44%)는 낮았다. 서울에서는 아파트 매매가격 상위 지역인 강남구(3.03%), 송파구(3.18%), 용산구(3.24%), 서초구(3.25%) 등이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