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 "준재난지역 선포해달라"

입력 2013-04-13 15: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긴급 토론회…"바이어 이탈 수습 어렵다" 토로

개성공단포럼·중앙대 민족통일연구소·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등은 13일 낮 중앙대 R&D센터에서 '위기에 처한 개성공단, 어떻게 살릴 것인가?'를 주제로 긴급 토론회를 열었다.

특히 토론회에 참석한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바이어 이탈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다.

유동옥 개성공단기업협회 고문은 "바이어가 견딜 수 있는 기간은 이제 일주일이다. 태양절(김일성 생일·4월15일)이 끝난 이후에는 바이어의 이탈을 수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입주기업인의 어려움을 털어놨다.

성현상 협회 부회장은 "우리 업체의 경우 현재 판매가 기준으로 400억∼500억원, 원가만 봤을 대 60억∼70억원의 손해를 입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정부에서 준(準)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대북 관계 전문가들은 남북 간 대화와 입주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등의 해법을 제시했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박사는 "개성공단 문제에 한해서만 남북 고위급 회담을 하자고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박사는 "판문점이 어렵다면 베이징에서라도 개성공단 문제를 두고 원 포인트 회담을 하자고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인화 한국산업단지공단 실장은 "많은 업종이 산업통상자원부 소속인데 반해 개성공단만 통일부 소속으로 돼 있다"며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정경(政經)을 분리한다면 정치는 통일부가 하되 경제 부문은 자금 지원 등을 관장하는 곳에서 협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상준 국토연구원 박사는 "바이어는 제2, 제3의 개성공단 사태를 우려할 것"이라며 "개성공단이 정상화된 이후의 문제도 생각해봐야 한다.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