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탱크] 증시 대세상승시대, 배당 투자가 답이다

입력 2013-03-29 17: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P500 지수 추이. 블룸버그

글로벌 증시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배당 투자가 이익을 최대화하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미 펜실베니아대 경영 전문대학원이 발간하는 날리지앳와튼이 권고했다.

제레미 시겔 와튼스쿨 교수는 “현재 국채 투자 수익률이 낮고 기준금리가 오를 경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이 배당 투자에 적기”라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가 지난 1월 배당금에 대한 세금 감면안을 연장한 것 역시 배당 투자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날리지앳와튼은 설명했다.

시겔 교수는 “현재 미국 중간 소득 계층에 대한 배당세율은 15%”라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납세자들에게 ‘재정절벽(fiscal cliff)’으로 인해 배당금과 장기 자본수익에 대한 세율이 15%로 영구적으로 고정됐다.

연소득이 45만 달러가 넘는 납세자들에게는 20%의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시절 시작된 세금 감세안이 일시적이었던 것에 비하면 이번 영구적인 세금 감세안으로 투자자들은 장기 투자에 대해 안심할 수 있게 됐다고 날리지앳와튼은 전했다.

기업들의 배당금 역시 증가하고 있다. 버라이즌과 AT&T 등의 배당률은 현재 4%대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의 배당률은 국채는 물론 증시에 비해서도 높은 수익률을 안겨주고 있다고 날리지앳와튼은 덧붙였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29일(현지시간) 1.85%에서 거래되고 있다.

날리지앳와튼은 주식 투자가 위험하지만 채권 역시 금리 상승 등의 위험을 안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사실상 제로 수준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시겔 교수는 “채권의 낮은 수익률과 금리 상승 위험이 배당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S&P다우존스지수(S&P Dow Jones Indices)에 따르면 2012년 4분기에 배당금 인상을 발표한 미국 기업들은 1262개였다.

이는 전년 동기 649개를 두 배 웃도는 수준이다.

2012년 한해 기준으로는 2883개의 기업이 배당금을 올렸다. 전년에 배당금을 인상한 기업은 1953개였다.

하워드 실버블라트 S&P다우존스지수 애널리스트는 “올해 평균 배당금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면서 “배당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