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양적완화 ‘약발’ 살리려면 기업 먼저 살려라

입력 2012-12-12 09: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막대한 유동성 공급에도 경제 회복 실망스러워…기업들, 채용·투자 여전히 소극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돈풀기’ 정책이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업 투자를 살리는 것이 급선무라고 미 경제전문지 포춘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준은 이날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 들어갔다.

연준이 이달 말 종료되는 오퍼레이션트위스트(OT)를 대체하기 위해 4차 양적완화(QE4)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매달 450억 달러 규모의 장기 국채를 매입하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 회의에서 3차 양적완화(QE3)를 발표하고 매달 400억 달러 규모의 모기지담보증권(MBS)을 무기한으로 매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파격적인 경기 부양책에 시장에서는 환호를 보냈지만 정작 눈에 보이는 성과는 없는 상황이라고 포춘은 지적했다.

미국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3년 전 버냉키 의장이 1차 양적완화(QE1)를 내놓을 당시 기대했던 것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다.

연준은 금리를 사실상 제로 수준으로 유지하면 기업투자가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기업들은 고용을 창출하지 않고 저금리를 이용해 높은 금리의 채무를 갚는 것에만 집중했다.

실제로 금융위기가 끝난지 3년이 지났지만 지난 11월 신규 일자리는 14만6000개에 그치는 등 고용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상황이다.

버냉키는 양적완화를 통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서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이같은 움직임은 제한적이었다.

기업 역시 저금리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인수·합병(M&A)에 돈을 쓰지 않는 등 보수적인 경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지지 않으면서 최고경영자(CEO)들이 배당금을 늘리는 방식으로 주주들에게 이익을 돌려주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도 투자 확대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포춘은 전했다.

결국 기업들의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양적완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경기부양을 이끌 수 있는 방법이라고 포춘은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