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스탁론 규제 등 기존 수익원 규제… 체질개선 우선·지역밀착 서민금융 지원이 대안
현재 고강도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저축은행은 ‘새판짜기’에 대한 기대감의 한편으로 ‘새로운 먹거리’ 부재라는 고민에 빠져 있다.
장기화된 건설경기 침체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더욱 커지면서 현재 저축은행의 절반 가량은 적자이고 5 곳 중 2 곳은 자본잠식 상태다. 영업환경도 악화일로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주요 성장동력인 PF대출(건설사·부동산 임대업 대출)이 전체 여신의 50%를 넘지 않도록 규제를 가했다. 이에 지난 2010년 말 약 12조2000억원이었던 저축은행의 PF사업 규모는 올해 3월 .말 약 3조6000억원으로 급감했다.
또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대표적인 수익처 가운데 하나인 스탁론(주식매입자금 대출)의 대출한도를 현행 3배에서 2배 이내로 축소하고 115%로 설정된 담보유지비율을 140%로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처음으로 상품화한 주식과 전세담보대출 등은 은행권과 캐피털에 점점 잠식당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는 새로운 수익원 확보를 위해 금융당국에 저축은행만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지만 은행, 상호금융 등 타 금융업권과의 형평성을 고려하면 금융당국이 저축은행만을 위한 부양책을 실시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미래 전망도 어둡다. PF대출 등 자금운용처와 수익원이 잠식된 상태에서 우량 대출고객도 시중은행으로 갈아타기를 진행중이다. 이에 일부 저축은행들은 소액 신용대출을 대체 수익원으로 삼으려 하고 있지만 건정성 강화를 내세운 금융당국의 엄격한 규제로 이마저도 쉽지 않다.
그나마 햇살론이 꾸준히 늘면서 저축은행의 새로운 수익처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7월 정부보증비율이 95%로 10%포인트 높아지면서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높아진데 따른 것이다.
올해 9월 말까지 저축은행의 햇살론 대출 규모는 전체 햇살론 대출액 3421억원의 30%(1041억원)을 차지했다. 지난해 까지는 새마을금고와 신협이 각각 30% 대로 햇살론 취급비중이 가장 높았고 저축은행은 20% 대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우선 저축은행의 체질 개선이 밑바탕 돼야 새로운 수익처 발굴이나 영업이익 개선 등의 활로를 모색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금융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해야만 정상적인 영업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정상화 후에는 도덕적 해이가 만연해 있는 저축은행 대표와 대주주에 대한 감시·감독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일각에서는 최근 금융지원의 초점이 서민에 맞춰진 만큼 저축은행 본연의 업무였던 지역밀착 금융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