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 폭탄에 美경제 ‘휘청’…연준 나서나

입력 2012-11-01 10: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망자 64명, 복구비용 등 경제적 비용 최대 700억달러 달할 수도

미국이 대형 허리케인 샌디 폭탄을 맞은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추가 부양에 나설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샌디가 미 동북부를 강타하면서 피해와 복구를 합친 경제적 비용이 최대 700억 달러(약 7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샌디로 인한 보험업계 부담은 50억~10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샌디로 인한 사망자는 최소 64명에 달하고 이 중 절반이 뉴욕시에서 발생했다.

600만 가구와 사업은 정전 사태를 겪고 있으나 복구 작업은 1주일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샌디는 캐나다와 가까운 뉴잉글랜드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어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번 허리케인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뉴욕과 뉴저지는 전기·대중교통·항만·터널 등 인프라의 파손 상황이 예상보다 심각하다고 WSJ는 전했다.

남부 뉴저지부터 동부 코네티컷까지 홍수 피해도 심각하다.

뉴욕의 지하철은 대부분 침수돼 물을 빼고 정상 가동에 1주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으나 정확히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조지프 로타 뉴욕교통청(MTA) 청장은 “샌디의 타격은 뉴욕 지하철 108년 역사에서 가장 강력한 것”이라고 밝혔다.

피해 규모가 더욱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샌디 양적완화(QE)’ 전망까지 나왔다고 경제전문방송 CNBC가 이날 전했다.

초저금리 정책으로 사실상 금리가 제로 수준인 상황에서 연준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연준이 추가 부양에 나선다면 모기지 채권 매입이 아닌 다른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고 CNBC는 덧붙였다.

그러나 연준이 추가 양적완화를 시행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재해 이후에는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고 가격을 높이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피해를 남겼던 지난 2005년 카트리나 사태 당시 연준은 경기부양을 위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