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겨우 잡았는데…유가·전기료 또 악재가

입력 2012-05-21 11: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물가 당국 초긴장

‘물가 겨우 잡아놨는데…’

물가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전기료 인상과 이란산 원유수입 중단이 같은 시기에 맞물리면서 6월 물가 대란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초 인상 시기를 최대한 늦추려 했다. 그러나 때이른 더위로 전력수급에 문제가 생기자 청와대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인상 방침을 밝힌 것이다. 이란산 원유수입 중단 가능성이 높아져 최근 몇 주간 하락세를 보이던 기름값의 급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전기료와 수입 원유가가 동시에 오르면 급격한 물가 상승은 피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이다.

전기료가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로 개별항목 중에서 매우 크다. 작년 8월 전기요금이 평균 4.9% 오르면서 생산자 물가가 6.6%, 소비자물가도 4.7% 급등해 물가 상승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게다가 파급력도 크다. 전기료가 인상되면 순차적으로 서비스물가도 따라 오른다. 도시가스료도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가중치가 1.61%로 크기 때문에 도시가스료까지 인상된다면 전체 물가는 0.15% 가량 오를 가능성이 높다. 전기료는 이 달 말 전기위원회가 열리고 난 후 부처협의가 끝나는 6월 인상이 유력하다.

같은 기간 이란산 원유 수입 전면 중단은 물가에 최대 리스크다. 전면 수입 중단에 따른 유가 인상폭은 10~20% 정도 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란산 원유가 다른 산유국들에 비해 3~4달러 저렴해 이를 대체할 경우 국내 유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게 이유다.

석유류 가중치는 전기료나 도시가스를 합한 수치보다 큰 5.4%에 달하기 때문에 원유값이 10%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0.5% 수직 상승하는 구조다. 최대 20%까지 오를 경우 소비자물가는 1% 넘게 치솟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게다가 올 들어 소비자물가지수가 낮아진 배경을 물가 상승률이 워낙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무상급식과 무상교육 등의 정책효과로 본다면 체감 물가는 더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재랑 한은 물가분석팀장은 “전기요금이나 유가가 함께 오르면 물가 상승압력은 더 커질 것”이라며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을 정부에서 어떻게 시기를 조정하는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원화가치 하락(환율상승)도 물가에 적신호를 보내고 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환율과 코스피지수 등) 본동폭이 펀더멘털에 비해 과민하지 않나 생각한다”면서 구두 개입성 발언을 하는 등 환율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물가당국인 기획재정부는 21일 오전 주형환 차관보 주재로 긴급 회의를 열어 전기료 인상과 이란산 원유 수입금지 등 물가를 둘러싼 여러 변수를 검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