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민주당 ‘패배’… 원인은?

입력 2012-04-12 01:39수정 2012-04-12 01: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명숙 책임론, 안철수 조기등판론 등 거론 가능성

4ㆍ11총선에서 제1당을 노렸던 민주통합당이 130석 미만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실상 패배했다. 통합진보당과의 연대에도 불구하고 ‘여소야대’ 정국은 어려워졌다.

민주당은 당초 ‘정권 심판론’으로 서울과 수도권에서 약진했지만, 이명박 정부와 선 긋기에 나선 새누리당과의 싸움에서 밀렸다는 평가다.

당장 선거를 이끌었던 ‘한명숙 체제’에 대한 당내 장악력이 떨어질 것이란 말이 나온다. 반면 일부에선 한 대표 체제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은 친노무현계 인사들이 약진하면서 한 대표 체제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란 상반된 평가도 공존한다. 한 대표는 내일(12일) 오전 서울 동작동 현충원에서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 이 곳에서 총선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 같은 패배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분석된다. 새누리당의 경우 유력 대선주자인 박근혜 새누리당 중앙선대위원장이 원톱으로 나섰고, 이에 대적할 만한 대선 주자급은 문재인(부산 사상) 민주당 후보 정도였는데 문 후보의 활동 반경이 부산ㆍ경남에 한정된 것이 꼽힌다.

이와 함께 부산발 민주당 바람을 기대했던 문 후보가 자신과 현역 조경태 의원의 단 2석만을 건졌다는 점에서 영남권 교두보라는 성과를 이뤘지만 동시에 부산ㆍ경남 장악력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이다.

민간인 사찰 등 야권에 호재로 작용할 요소가 있었지만 과거 ‘세종시 수정안’ 등과 같은 매머드급 화두가 없었다는 점도 민주당의 야권 바람을 미미하게 했다. 공천과정에서 벌어진 잡음이 전통 지지층의 등을 돌리게 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또 선거 막판 김용민(서울 노원갑) 후보의 상식이하의 막말이 불거졌을 때 초기 대응이 미흡해 지지표를 깎아먹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어려운 지역에 도전했던 문성근, 김부겸 최고위원 등이 낙선함에 따라 원외 최고위원이라는 한계를 지니게 된 점도 향후 정국운영의 구심점을 약화시킬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 때문에 당초 민주당이 통진당과의 연대로 과반인 151석을 확보해 연말 정국을 주도한다는 야권의 전략엔 적잖은 차질이 생겼다.

이번 선거로 여당이 ‘박근혜’라는 유력 대선주자의 위상을 견고히 한 데 비해 책임론이 대두될 민주당의 경우 ‘안철수 조기 등판론’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