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통업계, 요금폭탄 미리 막는다

입력 2011-10-18 08: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비스 한도 임박시 경고 메시지...미국인 3000만명 요금폭탄 피해 입어

▲미국 이동통신업계가 고객들이 요금폭탄을 맞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서비스 한도가 임박하거나 로밍서비스를 사용했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로 17일(현지시간) 결정했다. 미국 유타주 드레이퍼시의 한 버라이즌 매장에서 고객이 스마트폰을 고르고 있다. 블룸버그

미국 이동통신업계가 고객의 요금폭탄을 막기 위한 조치에 나선다.

미국 이동통신산업협회(CTIA)는 매월 고객들이 사용한 음성과 문자, 데이터 서비스가 한도에 임박하거나 국제 로밍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로 연방통신위원회(FCC)와 합의했다고 17일(현지시간) CNN머니가 보도했다.

서비스 한도가 찰 경우에는 두번째 경고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CTIA는 버라이즌와이어리스와 AT&T, 스프린트넥스텔, T-모바일 USA 등 미국 대형 이통사들이 회원사로 가입해있다.

CTIA 회원사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미국 전체의 97%에 달한다.

스티브 라전트 CTIA 총재는 “데이터, 음성, 문자, 로밍 등 4개의 서비스 중 적어도 2개는 늦어도 내년 10월17일까지 경고 메시지를 적용할 것”이며 “모두 적용되는 시기는 오는 2013년 4월17일 이전”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합의는 FCC가 요금폭탄 문제와 관련 약 2년간의 조사를 진행한 후 나온 것이다.

FCC는 조사에서 약 3000만명의 미국인이 요금폭탄으로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요금폭탄을 맞은 고객 중 84%는 서비스 한도가 임박했을 때 통신사로부터 어떤 통보도 받은 적이 없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FCC가 접수한 지난해 요금폭탄 피해 사례 가운데 67%는 요금이 월 100달러(약 11만원)를 넘었고 20%는 1000달러 이상이었다.

가장 큰 요금폭탄 피해사례는 6만8505달러에 달했다.

줄리어스 제나코스키 FCC 의장은 “이번 합의는 2억명이 넘는 이통사 가입자들의 승리”라며 “모든 소비자들은 공정한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FCC는 당초 경고 메시지 법규화를 고려했으나 이통사들이 자발적으로 나섬에 따라 이를 보류했다.

대신 FCC는 웹사이트에 통신사가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가 신고할 수 있는 코너를 만들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