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인도네시아 연결 동아시아 벨트 구상
우리은행은 최근 중국 화동지역의 물류 중심지인 장자강시에 장자강지행을 개설했다. 지난해 11월 다롄분행 개설이후 10개월만이다. 우리은행은 장자강시에 점포를 개설하면서 총 14개의 점포망을 구축하게 됐다.
김종천 우리은행 글로벌사업본부 부행장은 “중국 화동지역의 물류중심지인 장자강시에 점포를 개설하게 돼 중국 내 산업발전 속도가 가장 빠르고 소득이 높은 화동지역(상하이 포함)에 총 6개의 점포망을 갖춰 영업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중국우리은행은 2007년 한국계 은행으로는 최초로 중국현지법인으로 설립됐고 이후 2008년 인터넷 뱅킹 개시와 국내은행 최초로 중국 개인고객 대상 인민폐 영업 승인을 획득하는 등 현지화 영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중국우리은행은 중국계 은행과 동일하게 모든 은행 업무를 취급하고 있으며 전체 고객 중 중국고객의 비중이 60%를 넘어서고 있다.
또한 한국계은행 최초로 지난 2009년 5월 중국내 모든 ATM와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한 직불카드 출시했으며 지난해 3월 국제무역 위안화 결제은행 및 해외대리은행 자격을 취득했다. 뿐만 아니라 같은해 5월 중국 금융당국으로부터 파생상품 취급 승인을 취득하기도 했다.
기업은행도 내년 상반기까지 중국내 지점 규모를 12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이달 초 중국 장쑤성 쿤산시에 중국 내 9번째 지점을 개설했다. 쿤산지점으로 기업은행은 중국 동북쪽 랴오닝성 선양지점에서부터 톈진, 옌타이, 칭다오, 쑤저우, 선전에 이르는 영업망을 구축하게 됐다.
조준희 기업은행장은 “중국에 지점이 현재 9개 있고 곧 12개가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동북아 벨트, 즉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 진출해 나가고 있는 만큼 동북아 벨트는 기업은행의 장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지난 8월 현지법인 인가를 신청해 중국당국의 허가를 기다리고 있으며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초에는 승인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은행들이 자본금을 가지고 해외지역에 진출하는 것은 리스크를 동반하는 것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제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상황에 해외 영업점 확장이 부담이 될 수 있다”며 “해외시장 진출 모색시 타이밍 매니지먼트를 통해 적절하게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