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태위태 해외펀드 시장, 믿을껀 ‘중국 뿐’

입력 2011-08-24 10: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5개 펀드 1개월 수익률 불과 -5%…해외펀드 1/2.5 수준 “긴축 불구 내수성장 지속, 기업이익 대비 주가 저평가”

내리막 길을 걷고 있는 해외펀드 시장의 유일한 대안으로 중국본토 펀드가 재차 관심을 받고 있다. 긴축정책 우려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내수성장을 바탕으로 경기 연착륙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달 초 미국과 프랑스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여파에 이머징(MSCI이머징) 시장이 10% 이상 밀릴때도 중국 시장은 마이너스(-) 4%를 기록하며 선방했다. 탄탄한 펀더멘탈을 바탕으로 대내외 악재를 이겨낼 만한 내공을 쌓았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펀드 전문가들 역시 중국 기업들의 이익 성장률에 비해 여전히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며 중국본토 펀드는 앞으로도 ‘인기몰이’를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익률 낙폭 제한적=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최근 해외펀드가 고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본토 펀드가 1개월 평균 수익률 -5%대를 기록하며 선방하고 있다.

실제 제로인에 따르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25개 중국본토펀드의 22일 기준 1개월 평균 수익률은 -5.69%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기간 전체 해외펀드 수익률 -12.39%를 6.7%포인트나 상회하고 있는 것이다. 코스피지수 급락으로 고전했던 국내주식형 펀드 -19.06%와 비교하면 그 차이는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3개월, 6개월, 1년 등 장기 수익률도 각각 -7.47%, -11.66%, -0.88%를 기록하며 유형평균(-13.85%, -13.86%, -6.09%)을 꾸준히 웃돌고 있다.

개별 펀드별로는 ‘PCA China Dragon A Share자A- 1[주식]’가 1개월간 0.49%를 기록하며 유일하게 플러스(+) 성적을 거둔 가운데 ‘미래에셋China A Share 자 1[주식]’(-0.56%), ‘푸르덴셜중국본토자H[주식]’(-3.80%), ‘삼성CHINA2.0본토 자 2[주식]’(-3.96%), ‘한국투자네비게이터중국본토자[주식]’(-4.2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펀드 전문가들은 중국본토 펀드에 대한 장밋빛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인도, 러시아 등 이머징 펀드들에 대한 투자의견을 하향조정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우리투자증권 장춘하 펀드애널리스트는 “산업 및 내수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감안하면 여전히 중국펀드 전망은 밝다”라며 “브릭스국가들의 투자의견을 하향조정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긍정적’이란 당초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견조한 내수성장 버팀목=중국본토 펀드의 수익률 호조가 지속될 수 있었던 비결은 탄탄한 내수성장을 바탕으로 한 경기연착륙 기대감이다.

중국 통계국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20조4459억위안(약 3353조33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6% 늘었다.

GDP 성장률은 지난해 10.3%에서 올 1분기 9.7%, 2분기 9.5%로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둔화폭은 시장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30%를 넘어섰던 통화증가율 역시 15%대로 낮아졌다. 비록 6월에 물가가 6.4%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천재지변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한 것이어서 하반기에는 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현대증권 김경환 연구원은 “시장관심이 펀더멘털로 이동할 경우 중국경제가 핵심변수이자 유일한 버팀목이 될 것”이라며 “3분기 중국경제가 9%대 성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정책스탠스를 바꾼다면 시장엔 플러스요인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물론 하반기 인플레 압력과 구조적인 문제들(과잉유동성 및 지방정부 부실대출)로 인해 3년전 단행했던 ‘4조위안 부양책’과 같은 공격적인 정책은 기대하기 어렵다”며 “경기방어를 위한 효율적인 재정확장 정책과 12차 5개년 관련 투자는 계속 기대해 볼만 하다”고 덧붙였다.

물론 중국의 긴축 우려감은 여전히 주요변수다. 전문가들은 3분기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중 고점을 찍을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중 유동성 문제와 중소기업들의 자금난이 지속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하반기 한차례 추가 금리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다.

신영증권 김선영 연구원은 “중국정부는 ‘글로벌 쓰나미’ 인해 적정 성장을 유지하면서 물가 안정을 꾀하려던 당초 계획을 지켜내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따라서 중국정부는 현재 물가수준에 따른 긴축보다는 대내외 사정을 고려한 점진적 긴축완화 정책으로 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