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수의 머니스나이퍼] 삶의 재무목표를 디자인하라

입력 2011-05-06 15: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필자는 한 달에 보통 20회 이상의 강의와 일주일에 3~5명 이상의 상담을 통해서 혹은 이메일을 주고 받으며 많은 분들과 현재의 재무설계 현황 파악과 향후 전략을 위한 포트폴리오(Portfolio) 구성에 대해서 고민을 한다.

그런데 많은 사례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정확한 현재 재무상황에 대한 파악이나 향후 단기,중기,장기의 목표는커녕 별 생각 없이 생활하는 경우를 너무나 많이 본다는 것이다.

▲서기수 FN stars 자산관리연구소장
손자에 나오는 말 중에 ‘지피지기 (知彼知己)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전쟁이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는 의미인데 실제 재무설계의 계획과 실천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현재의 상황파악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상담자들의 경우 매월 매월의 대략적인 수입과 지출에 대한 파악과 분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고 심지어는 맞벌이 부부인 경우에는 부부간의 수입에 대한 공개도 꺼려하는 경우도 많이 보게 된다.

외벌이라고 하더라도 남편이 부인에게 본인의 수입을 제대로 공개를 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현재의 재무상황 파악과 향후 재무적인 계획수립 및 실천과 사후 점검 등이 이루어 지겠는가? 이 내용은 뒤에서 다시 다루게 되니 일단 흥분을 가라앉히고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자.

그럼 부부가 정말 투명하게 서로의 수입을 공개하고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한다고 한다면 제대로 된 재무현황 파악이 이루어지고 있을까?

이 역시 아직 많은 부부들이 체계적인 가계부의 작성이나 수입과 지출의 각 항목별 구분 내지는 재무목표의 정확한 설정과 실천계획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위의 그림을 잠시 살펴보면 삶의 재무목표를 정확하게 디자인 하기 위한 간단한 향후 인생의 큰 구분을 지어놓았으며 그 구분에 따른 방향성 설정과 재무목표의 필요성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현재의 한 집안의 가장의 나이와 배우자의 나이,그리고 자녀의 나이를 파악하고 은퇴시점을 대략 설정하면 당연히 추가로 자산을 축척할 수 있는 기간과 함께 평균 수명을 고려한 노후라는 기간이 설정된다.

그리고 부부가 함께 명확하게 정해야 하는 것이 노후기간에 필요한 부부만의 월 평균 생활비인데 월평균 필요 생활비에 노후기간을 곱하면 간단하게 노후에 필요자금이 산출된다.

이 노후필요 자금은 얼마나 나올까?

간단히 계산하더라도 월 평균 200만원씩만 지출한다고 해도 1년이면 2,400만원에 평균수명 연장의 시대에 살고 있는 만큼 30년 간의 노후라는 기간만 고려해도 무려 7억이 넘는 금액이 나온다.

깜짝 놀랄 정도로 실제와 우리가 막연하게 생각하는 재무목표 설정의 금액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이고 ‘어떻게 되겠지?’라는 생각만으로 넘겨버리기에는 현실과 살아가야 할 시간들이 너무나 많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모 자동차 기업체에서 자동차의 성공과 더불어 광고에서 많이 홍보하는 것이 디자인이다.

이제는 수명이 다되어서 또는 중간에 기능이 다해서 물건을 버리거나 폐기하는 시대는 지났다.

그만큼 과학과 기술이 발달해서 기능에 대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충족이 되는 시대이고 보기에 좋은 색깔이 마음에 드는 디자인의 시대인 것이다.

인생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이 되는 개념으로 돈을 많이 모으고 잘 운용해서 큰 비용이나 손실 없이 자녀에게 물려주는 기능적인 재무적인 삶의 방향성과 목표는 명확해졌다.

다만 그러한 방향성과 목표를 어떻게 디자인하고 색칠하느냐가 관건인 시대이고 그것이 바로 삶의 재무목표 디자인이라는 표현으로 나오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그림을 그리게 해야지만 말로 물어볼 때보다 좋아하는 색깔과 선호하는 도형을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재무목표의 설정과 실천도 일단 현재의 수입관련 내용과 지출에 관련된 내용(신용카드 청구서 및 기타)과 함께 투자와 저축에 관련된 각종 통장,증권 등을 펼쳐놓고 시작을 해야 한다.

이는 저질러야 할 수 있다는 개념조차 아닌 무조건 해야만 하는 당면 과제이자 첫걸음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책을 덮는 순간 오늘 저녁이라도 배우자에게 차 한잔 하면서 할 얘기가 있다는 연락을 하도록 하자. /FN stars 자산관리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