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사용자 정보 무단수집" 인정

입력 2011-04-22 11: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작년 美하원 제출 서한서 "사용자 위치정보 자동 전송" 인정

애플이 아이폰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경로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해온 사실을 지난해 이미 인정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애플의 사생활 침해 논란이 점입가경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무단으로 수집한 사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지난해 미국 하원에 정보수집 사실을 실토한 적이 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미국 하원의 에드워드 마키 의원(민주당, 매사추세츠주)과 조 바턴 의원(공화당, 텍사스주)에게 보낸 서한에서 아이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받아왔다고 분명히 했다.

애플은 지난해 7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한을 보냈으며, 서한 내용은 마키 의원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열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마키 의원의 공식 홈페이지에는 서한 내용을 확인하려는 네티즌이 폭주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이번 애플의 개인정보 무단 수집 파문의 진원인 알라스데어 앨런과 피트 워덴 2명의 보안 전문가는 저장된 파일이 애플에 전송된 증거는 없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서한에서는 위치 서비스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혹은 위치 정보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사용할 때 아이폰에서 애플이 실제로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애플은 이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기능을 포함해 위치 정보를 단속적으로 수집했다고 밝혔다. 다만 앱 사용빈도가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면 단속적인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애플은 서한에서 알려진 장소 정보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활용하기 위해 이 같은 데이터를 수집했다고 설명했다.

애플은 또 “이 정보는 일괄적으로 암호화돼 고속 무선 LAN(구내 통신망)인 ‘Wi-Fi(와이파이)’ 접속을 통해 12시간마다(기기가 해당 시점에서 와이파이에 접속하지 못하면 그 이후에) 애플에 전송된다”고도 말했다.

애플의 개인정보 무단 수집 파문은 앨런과 워덴 2명의 보안 전문가가 아이폰을 컴퓨터 동기화할 때 사용자의 이동경로 정보가 무단으로 저장된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마키 의원은 지난 20일 애플에 고객의 휴대폰에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유와 또 이같은 데이터를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을 담은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를 이용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법적인 처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