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이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 중임에도 집주인들이 전세를 보증부 월세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활발해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다.
월세이율이 여전히 은행 예금이자 등에 비해 훨씬 높아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 현상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9일 KB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월세이율은 지난달 0.94%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하락했다.
월세이율은 전세를 월세로 바꿀 때 적용되는 이자율을 말한다. 즉, 아파트 전세금이 1억원이고 집주인이 이를 보증부 월세로 바꿔 5000만원을 보증금으로 하고 나머지 5000만원분을 월세로 받는다면 월세이율이 1%이면 매달 50만원, 0.94%이면 47만원이 된다.
전국 평균 월세이율은 매년 12월을 기준으로 이 지표에 대한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01년 1.22%에 달했으나 2002년 1.17%, 2003년 1.07%, 2004년 1.02%, 2005년 1.02%로 점차 떨어진 뒤 2006년 0.99%로 ‘1%의 벽’이 무너졌다.
이후 2007년 0.98%, 2008년 0.97%, 2009년 0.96%, 2010년 0.95%로 매년 0.01%포인트씩 하락하더니 이달 0.94%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1년 12월과 비교하면 0.28%포인트(23%)나 급락한 것이다.
이처럼 월세이율이 떨어지는데도 집주인들의 월세전환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임대차 계약 구성비는 1월 현재 전세 57%, 보증부 월세 40.2%, 순수 월세(사글세) 2.8%로, 3년 전인 2008년 같은 달에 비해 전세는 2.4%포인트 낮아진 반면 보증부 월세는 2.3%포인트 높아졌다.
월세로 1부에 가까운 이자를 받을 경우 연수익률이 10%를 넘는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 은행에 예치하는 것보다 훨씬 많이 남는 장사인 셈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중 예금이자가 연 3~4%에 불과한 상황에서 연 10% 안팎의 수익률은 굉장히 높은 것으로, 목돈이 없어 월세를 선택해야 하는 서민에게는 엄청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월세 전환을 부추긴다는 분석도 있다.
주택시장이 상승 국면이라면 전셋돈을 받아 또 다른 집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지만, 하강이나 보합 상황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줄어든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