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1인당 소득 구매력 지수 3만달러

입력 2010-05-12 06:45수정 2010-05-12 06: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명목기준으로 2만달러지만 실질적으로 소비 가능한 수준을 보여주는 구매력지수(PPP) 기준으로는 3만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PPP 기준 소득을 명목소득으로 나눈 값이 주요 선진국 중에 두 번째로 높았다.

12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내놓은 한국 경제전망 자료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PPP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만9천350달러로 전년의 2만7천977달러보다 1천373달러 늘면서 3만달러 고지에 근접할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한국의 1인당 명목소득이 2만264달러라는 점을 고려하면 9천86달러나 더 소비여력이 있다는 뜻이다.

GDP를 인구로 나눈 1인당 명목 소득과 달리 PPP 기준 소득은 전세계의 물가와 환율이 동등하다고 가정할 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실질적인 삶의 수준을 보여주는 수치로 평가된다.

'빅맥지수'처럼 각국의 햄버거 가격을 비교해 생활수준을 평가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우리나라의 PPP 기준 1인당 소득은 외환 위기 당시인 1998년 1만3천413달러를 기록한 이후 2004년 2만1천138달러로 2만달러를 넘어섰으며 2007년 2만6천575달러, 2008년 2만7천681달러로 2000년대 들어 매년 1천달러 정도 늘어왔다.

아울러 2011년에는 3만1천182달러로 3만달러 고지를 넘어서고 2012년 3만2천950달러, 2013년 3만4천846달러, 2014년 3만6천814달러, 2015년 3만8천895달러로 4만달러까지 육박할 것으로 IMF는 예측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PPP 기준 소득을 명목소득으로 나눈 값은 144.8%다. 이는 명목 소득보다 PPP 기준 소득이 44.8%나 더 많다는 뜻인데 IMF가 선진국으로 분류한 33개국 가운데 대만(88.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이처럼 PPP 기준 소득이 명목소득보다 많은 국가는 우리나라와 대만 외에 홍콩(42.8%), 싱가포르(31.0%), 슬로바키아(30.5%), 체코(30.1%), 체코(30.1%), 몰타(24.6%), 슬로베니아(15.6%) 등을 포함해 11개국에 불과했다.

반면 노르웨이는 올해 명목 소득이 구매력 기준 소득보다 40.2% 낮을 것으로 평가됐으며 스위스(-37.1%), 덴마크(-36.0%), 룩셈부르크(-26.2%), 호주(-26.0%), 스웨덴.핀란드(-23.8%), 아일랜드(-19.7%), 프랑스(-19.2%), 일본(-19.1%)도 과대 포장된 것으로 분석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버스비 등 공공요금, 교육비, 사회보장세 등이 다른 선진국에 싸기 때문에 구매력 기준 1인당 소득이 명목 소득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