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온실가스 없는 발전소 상용화

입력 2009-10-13 11: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에 5년간 1천억원 투자

정부가 발전 및 제철, 시멘트 제조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모아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하는 데 5년간 1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전력과 발전자회사가 약 1조3000억원을 투자,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가 없는 화력발전소를 만들기로 했다.

13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김정관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차 이산화탄소처리 리더십포럼(CSLF) 각료회의에 참석해 이같은 내용의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CCS는 발전이나 철강, 정유 등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90% 이상을 포집해 압축한 뒤 이를 유전, 가스전 등 심층에 저장하는 기술로, 2020년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핵융합 발전이나 수소기술의 상용화 이전까지는 가장 효과적인 이산화탄소 감축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8%를 차지하는 석탄화력발전소의 경우 향후 CCS 기술 없이는 신규 시장 진입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국제에너지기구(IEA)와 CSLF는 신규 화력발전소에는 반드시 CCS 기술을 적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CCS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올해부터 2013년까지 1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기술개발에 나서고 한국전력 및 5개 화력발전사들은 이와 별도로 2020년까지 1조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에는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잠재량에 대한 조사를 벌여 포집, 압축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지역을 찾아내고 국내에 대규모 저장이 어려울 경우 이산화탄소를 재자원화하는 대체 저장기술 개발을 병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2014년까지 10㎿급 중소 규모 발전소에 적용할 포집 기술을 확보하고 2015년부터는 민간 기업 컨소시엄 주도로 500㎿급 대규모 발전소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김정관 실장은 "초기에는 정부 지원을 통해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상용화 실증 단계에서는 기업 주도로 추진함으로써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CCS 상용화를 적극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