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상자산 원화 거래액 ‘2300조’…최대 거래일은 ‘계엄 선포일’

입력 2025-01-02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상자산 비트코인 모형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가상자산 원화거래소 5곳의 총 거래액이 2300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중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날은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다음 날인 12월 4일이었다. 점유율은 빗썸의 이벤트마다 출렁였지만, 1년 평균 업비트가 73%를 차지하며 1위 거래소 자리를 굳건히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본지가 가상자산 시황 플랫폼 코인게코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2024년 국내 가상자산 원화거래소 5곳의 총 거래액은 약 1조7000억 달러(약 2300조 원)의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4년 거래량은 미국 대선 영향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시장이 급등한 11월과 12월에 집중됐다.

마지막 달이었던 12월의 거래액은 3730억 달러를 나타내며 2024년 전체 거래량의 22%를 차지했다. 치솟은 환율을 감안하면 522조 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트럼프 트레이드가 본격화한 11월 거래액 역시 440조 원 넘어서며 전체 거래량의 19%가량을 차지했다.

2024년 중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날은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12월 3일 밤과 다음 날인 4일이었다. 코인게코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3일 새벽 6시 30분부터 24시간 뒤인 4일 새벽 6시 30분까지 51조 원이 넘는 거래가 발생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역시 2일 새벽 6시30분~3일 새벽 6시30분과 4일 새벽 6시30분~5일 새벽 6시30분으로 사흘 동안 115조 원이 넘는 거래량이 폭발했다.

다음으로 거래가 많았던 시기는 미국 대선 이후 비트코인이 은의 시총을 넘어선 11월 12일과 국내에서 도지코인 거래량이 폭증했던 13일로 양일 합쳐 55조 원 이상의 거래가 발생했다.

다만, 국내 거래소의 천문학적인 거래량에는 착시가 있다는 주장도 나온 바 있다. 지난달 20일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국회 디지털경제3.0포럼이 연 가상자산 관련 세미나에서 “최근 국내 가상자산 거래 대금이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한 것보다 많지만, 약간의 착시가 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암호화폐, 가상자산은 국내외 거래소가 많고 가격이 다 다른데, 가상자산을 제대로 투자하는 사람들은 프로그램을 짜서 거래소 간 가격 차이(아비트라지 거래)를 통해 수익을 내기 때문에 거래가 많이 발생한다”면서 “반면 주식은 삼성전자에 투자한다고 해도 1초 만에 주식을 샀다 팔진 않는 만큼, 단순 자본시장과 비교하긴 힘들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2024년 한 해 동안의 총 점유율은 업비트가 73.66%, 빗썸이 23.59%를 나타냈다. 코인원과 코빗, 고팍스는 각각 1.82%, 0.46%, 0.44%를 기록하며 기존 시장 점유율이 크게 달라지진 않았다.

다만, 국내 1위와 2위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의 시장 점유율은 1년 동안 빗썸의 행보에 따라 월별로는 큰 변화를 나타내 온 바 있다. 2023년 10월부터 2024년 2월까지 빗썸이 10주년을 기념해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시작한 뒤 90%에 육박했던 업비트 점유율은 2024년 1월에는 59%까지 하락했다. 같은 기간 빗썸의 점유율은 38%를 넘어서며 업비트 1강 체제를 흔들었다.

하지만, 빗썸이 2월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중단함과 동시에 업비트 점유율은 다시 70%대를 회복했다. 빗썸의 공격적인 신규 상장으로 업비트의 6월 점유율이 68%로 내려갔던 것을 제외하면 10월까지 대부분 업비트가 70%대 점유율을 이어갔다. 이후 빗썸이 창립 11주년 기념으로 2024년 10월 초부터 11월 17일까지 다시 한번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해 점유율을 35%까지 끌어올렸으나, 수수료 무료 종료 이후 다시 20%대로 다시 하락했다.

업계는 1분기까지는 시장의 긍정적인 분위기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1월 20일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이 예정된 만큼 1분기에는 지금의 분위기가 유지될지 혹은 한 번 더 반등할지 기대해 볼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서 “글로벌 이슈 외에도 국내 규제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법인 투자 허용이나 ETF 논의 등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시장 향방이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