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약·바이오 기술이전 트렌드는?…“선급금 비율 줄고, 임상 3상 증가”

입력 2024-12-16 16:22수정 2024-12-16 17: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시장 불확실성 큰 영향…향후 유망 분야 ‘세포·유전자·면역치료제’

▲조원희 법무법인 디엘지 대표 변호사는 16일 강남구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열린 ‘DLG Bio 세미나 24년 회고와 25년 전망’에서 '올해 라이센싱 트렌드 및 주요 사례 분석'에 대해 발표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올해 제약‧바이오 업계의 기술이전 트렌드는 높아진 시장의 불확실성에 총 계약 규모 대비 선급금 비율이 감소하고, 임상 3상에서 계약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원희 법무법인 디엘지 대표 변호사는 16일 강남구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열린 ‘DLG Bio 세미나 24년 회고와 25년 전망’에서 이같이 소개했다.

올해 3분기까지 글로벌 기술이전 규모는 1152억 달러(165조 원)다. 이중 반환 의무가 없는 선급금 비율은 5%다. 선급금은 기업의 기술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술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뜻이다. 선급금 비율은 2019년 13%(총 계약 규모 1209억 달러)에 달했지만 매년 감소하다 올해 3분기까지 5%에 그쳤다.

조 변호사는 “선급금 비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선급금의 비율은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으로 볼 수 있는데, 이 수치가 감소한다는 뜻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국내에선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지놈앤컴퍼니, 아이엠바이오로직스, 에이프릴바이오 등이 해외 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 이중 선급금 비율 5%를 넘긴 건 알테오젠이 유일하다. 국내에선 선급금 비율이 5% 내외가 많고 10%가 넘는 경우는 드물다.

알테오젠은 올해 11월 일본 다이이찌산쿄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을 계약금 2000만 달러(약 280억 원) 포함 총 3억 달러(약 4000억 원)에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의 피하주사(SC) 제형 개발과 판매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기술이전 임상 단계도 변화했다. 글로벌 빅파마의 임상 단계별 기술이전 규모는 2022년 임상 1상이 가장 많았지만, 올해는 임상 3상이 1상과 2상을 합친 것보다 더 많았다.

조 변호사는 “올해는 임상 3상에서 기술이전이 2022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이는 기업이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한 고민이 나타나는 대목으로, 리스크가 적은 방향으로 딜이 변화하고 있다”며 “이제 임상 1상에 들어가면서 기술을 이전하는 것이 예전보다 어려워 보여 임상 1상만 고집할 게 아니라 다른 단계서 기술이전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앞으로는 세포, 유전자, 면역 치료제 관련 기술이전이 기대를 모을 것으로 평가했다. 조 변호사는 “글로벌 빅파마의 치료제 분야별 투자를 살펴보면 세포, 유전자, 면역 치료제 부분에 대한 초기 투자가 많아졌다”며 “향후 이 분야에서 계약 비중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